부산은행, 퀘스트소프트웨어의 ‘윈도우 관리(WM) 솔루션’ 도입해 본격 운영
이번 프로젝트는 부산은행이 급변하는 시장 상황과 IT 운영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윈도우(Windows) 기반의 안정적인 메일 시스템과 사용자 계정 관리 시스템을 마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다양한 기업 및 개인 고객들의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 진행되었다. 부산은행 구축 프로젝트는 지난 2007년 상반기 동안 시스템 구축 및 운영 테스트 작업을 완료했으며, 최근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갔다.
'메시지스테츠(MessageStates)’로 예측 기반 메일 서비스 운영 가능해져
부산은행은 기존 메일 서버인 익스체인지 서버(Exchange Server) 5.5를, 2005년도에 익스체인지 서버 2003으로 업그레이드하면서 기업 내 커뮤니케이션 안정화를 위한 관리 체계를 강화했다. 그러나 이후 지속적으로 메일 사용률이 높아지면서 익스체인지 서버 2003 운영을 위한 자원(리소스) 배분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사용 패턴을 정확히 체크할 방법이 없었다.
이에 부산은행은 관리가 쉬운 것은 기본이고, 사용자 수요 예측을 통해 메일 서비스를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퀘스트소프트웨어의 MS 익스체인지 서버 사용 현황 보고 및 분석 솔루션인 '메시지스테츠(MessageStates)’를 도입하여, 부서와 직무에 따라 사용자들의 메일 활용 정도를 정확히 파악할 수 있게 되어 활용 모델에 따른 메일 서비스 정책 수립이 가능해졌으며, 궁극적으로 예측 기반 메일 서비스 운영이 가능해짐으로써 장기적인 관점에서 IT 투자 계획 수립이 용이해졌다.
한편 부산은행 IT정보개발부는 향후 메일 퀘스트소프트웨어의 메일 아카이빙 솔루션인 ‘아카이브 매니지먼트 슈트(Archive Management Suite)’ 도입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메시지스테츠와 아카이브 매니지먼트 슈트가 맞물릴 경우 메일 정보의 기록과 보존이 필요한 각종 IT 컴플라이언스 이슈에도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covery Manger for Exchange를 통해 각종 메시지와 첨부 파일의 실시간 복구 체계로 전환
부산은행은 익스체인지 서버(Exchange Server) 2003으로 메일 서버를 운영하면서, 서버 백업에 비해 복구 기능이 떨어지는 아쉬움이 있었다. 복구 작업의 대부분은 사용자 개개인의 중요 메시지에 대한 복원이 차지하며, 이런 경우 복구 작업은 복원해야 할 대상을 정확히 짚어, 해당 파일만 살려내는 것이 중요하지만, 익스체인지 서버의 경우 디스크나 테이프 드라이브에 백업된 각종 파일 중 필요한 부분에만 직접 접근해서 복원하는 것을 지원하지 못했다.
이에 부산은행은 백업 데이터에 직접 접근해 필요한 데이터를 바로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퀘스트소프트웨어의 MS 익스체인지 서버 복구 솔루션인 ‘익스체인지를 위한 리커버리 매니저(RMEX: Recovery Manger for Exchange)’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부산은행은 RMEX 도입을 통해, 사용자들이 원할 때 10분 내외로 복구 지원이 가능해졌으며, 관리자의 작업 동선을 짧게 하여 단일 관리 화면상에서 간단한 조작만으로 복구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복구 업무 생산성을 크게 높였으며, 또한 중장기적인 마인드로 메일 서비스 운영 전략을 세우고 우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Recovery Manger for Active Directory로 액티브 디렉토리 복구 작업 시간을 1시간에서 10분 대로 획기적으로 줄여
부산은행의 정보계 시스템은 윈도우 서버(Windows Server) 플랫폼상에서 네트워크로 연결된 각종 IT 자산 구성 정보부터 사용자 계정 및 인증 정보 등을 통합 관리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MS 윈도우 사용자 계정을 관리하는‘액티브 디렉토리(AD: Active Directory)’ 서버 4대로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액티브 디렉토리 서버의 장애 발생시 장애 포인트 부분만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액티브 디렉토리 도메인의 전체 데이터를 다시 모두 복원한 후에야 해당 부문의 문제를 처리할 수 있다 보니 업무 생산성과 효율성이 크게 떨어졌다.
이에 부산은행은 특정 부분의 장애 복구에서 시스템을 끄지 않고 동시에 도메인 데이터의 전체 복원을 할 필요 없이 해당 데이터만을 다시 되돌려 복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퀘스트소프트웨어의 ‘액티브 디렉토리를 위한 복구 매니저(RMAD: Recovery Manger for Active Directory)’를 도입하여, 복구를 원하는 부분만 실시간으로 복구할 수 있게 됐으며, 기존에는 1시간 이상 걸리던 전체 데이터 복구 시간을 시스템을 끄지 않고도 10분대로 단축시켰다. 또한 중앙 집중 관리로 관리 콘솔을 통해 4대의 액티브 디렉토리(Active Directory) 서버에 분산된 구성 정보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되어 관리 업무의 가시성을 높였다.
부산은행 IT 기획부 송위창 계장은 “퀘스트의 솔루션들은 기업의 IT 관리자들이 윈도우 시스템을 관리하면서 공감할 수 있는 기본 관리 기능의 부족한 점을 다양한 관리 포인트에서 보충해주는 ‘스마트한 관리 툴(Management Intelligence)’이라고 말할 수 있다”고 설명하며, “또한, 퀘스트의 솔루션들은 우리 부서 입장에서 볼 때 일종의 보험과도 같다. 장애가 일어날 시 최악의 경우 정보계 업무가 마비되는 상황까지 일어날 수도 있는데, 이에 대한 걱정을 덜어낼 수 있게 해준 최적의 솔루션이었다”고 만족감을 표시했다.
퀘스트소프트웨어코리아 전완택 대표이사는 "퀘스트소프트웨어는 윈도우 관리를 위한 업계 최고의 솔루션들과 전문 인력을 통한 서비스 다양한 정보 기술과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 부산은행이 전사 차원의 윈도우 시스템 환경 개선 프로젝트를 성공리에 수행했다"고 말하며, "특히 이미 많은 국내 고객사들로부터 검증 받은 다양한 구축 경험들을 통해 급변하는 시장 상황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IT 인프라 관리 환경 구현을 돕고 있다"고 의의를 밝혔다.
1967년 설립되어 올해로 창립 40주년을 맞이한 부산은행은 지역 경제 활성화, 수도권의 경제력 편중 억제 및 완화를 통한 국민 경제의 균형 있는 발전도모 등의 목적으로 설립된 대표적인 지역 은행이다. 2006년 기준으로 지점 171개, 출장소 41개를 운영하고 있으며 순이익은 1,839억 원을 기록하고 있다. 부산은행은 오는 2010년까지 ‘트리플 4(Triple 4: 총자산 40조 원, 순이익 4,000억 원, 동남경제권 시장점유율 40%)’ 달성을 경영 목표로 매진하여 동남경제권 일등 은행으로 성장하기 위해 달려가고 있다.
퀘스트소프트웨어(About Quest Software, Inc.) 소개
시장을 선도하는 IT 관리 솔루션 전문업체 퀘스트소프트웨어(Quest Software, Inc. 나스닥: QSFT)는 기업의 IT 라이프사이클 전반에 걸친 효율성 및 가용성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돕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 및 윈도우 토털 관리 솔루션과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지난 1987년 설립된 퀘스트소프트웨어는, 美 캘리포니아 주에 본사를 두고 전세계 40개 지사 3,000여 직원과 일하고 있는 대표적인 글로벌 IT 기업으로, 포춘(Fortune)지가 선정한 전세계 500대 기업 75%를 포함하여 50,000여 고객에게 혁신적인 제품을 공급하고 있다.
실제로 퀘스트소프트웨어의 제품들은 주요 시장조사 기관 자료에서 ▲애플리케이션 관리 소프트웨어 1위(가트너, 2005), ▲분산 데이터베이스 관리 소프트웨어 1위 (IDC, 2005), ▲윈도우 서버 관리 소프트웨어 1위(포레스터리서치, 2004) 등을 기록하는 등 대표적인 업계 표준 솔루션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퀘스트의 윈도우 관리 솔루션은 Active Directory, Exchange 및 Windows 등을 단순화 및 자동화하는 것은 물론, 유닉스와 리눅스를 포함한 다중 운영 체제(OS)를 지원하여 IT관리자들이 안정적으로 시스템 통합 관리 환경을 운영할 수 있도록 돕는다.
퀘스트소프트웨어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www.quest.com/korea에서 확인할 수 있다.
퀘스트소프트웨어코리아 개요
퀘스트소프트웨어는 고객들이 일상적으로 겪고 있는 IT 과제를 보다 쉽고 신속하게 해결할 수 있도록 돕는 강력한 시스템 관리 제품을 개발 및 지원하고 있다. 더욱 자세한 정보는 ㈜퀘스트 소프트웨어 코리아 홈페이지(http://www.quest.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quest.kr
연락처
퀘스트소프트웨어코리아 김혜원 과장 02-3420-9049
커뮤니케이션 웨이브 정은경 팀장 02-3672-6596
이 보도자료는 퀘스트소프트웨어코리아가(이) 작성해 뉴스와이어 서비스를 통해 배포한 뉴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