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환경과학원, ‘제 10차 한·중·일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에 관한 전문가 회의’ 개최

인천--(뉴스와이어)--국립환경과학원(원장:윤성규)은 동북아지역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사업의 일환으로 제 10차 한·중·일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에 관한 전문가 회의」를 11월 6일부터 8일까지 3일간 부산에서 개최하였다.

※ 동북아지역 장거리이동 대기오염물질 공동연구사업(LTP : Long-range Transboundary Air Pollutants in Northeast Asia)은 동북아지역의 대기질 개선을 목적으로 1995년 한국 측에서 제안하여 3국 환경장관간 합의된 사업이다.

본 회의에서는 한·중·일 3국이 동북아지역의 월경성 장거리 대기오염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하여 3단계 연구계획을 확정하고 기존에 수행한 연구결과를 발표하였다.

내년부터 추진될 3단계 연구에서는 오존과 미세먼지 연구, 질소산화물의 3국간 영향, 미래 배출량 전망에 대한 연구를 3국이 공동수행하기로 합의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회의에서는 3단계 연구 계획 및 차기년도 연구내용, 집중관측 기간 등을 합의하였다.

또한,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2002년 동안의 침적량 및 농도에 대한 모델링 결과를 발표하였다.

한국의 연구결과에 의하면, 2002년 1년간 우리나라에 침적되는 황과 질소의 양은 각각 17만 톤과 44만 톤으로 나타났다.

2002년을 대상으로 총 8개월 (3국 합의사항, 계절별 2개월씩)에 걸쳐 도출된 배출원-수용지 관계(한국 연구결과)에 의하면, 우리나라에 침적되는 황의 총 침적량 중 중국의 기여도는 겨울철에 가장 큰 값 (약 35 %)을 보였다.

※ 2002년에 대한 배출원-수용지 관계 도출 3국 합의
- 2006년 공동 연구사업까지 각 계절별 각각 1개월, 총 4개월 수행
- 2007년 공동 연구사업에서 각 계절별 각각 1개월, 총 4개월 수행
- 2008년 공동 연구사업에서 각 계절별 각각 1개월, 총 4개월 수행 예정

3국의 대표는 LTP 사업이 동북아 지역의 장거리 대기오염물질을 해결하기 위해 중추적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에 동의하였고 내년도 제 11차 회의는 한국에서 11월 11일에 개최하기로 합의하였다.

웹사이트: http://www.nier.go.kr

연락처

국립환경과학원 지구환경연구소 송창근 연구관 032-560-79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