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포 문제 우리 일처럼 느낀다” 71%
이 같은 내용은 재외동포재단이 최근 조사기관인 (주)폴리시 앤 리서치에 의뢰, 전국 7개 광역도시 만 19세 이상의 남녀 708명을 대상으로 동포들에 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이다. 조사방식은 실사 및 면접을 통해 이뤄졌으며 표본오차는 ± 3.74%로 95% 신뢰수준이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국민 2명 중 1명(53.7%)은 재외동포와 접촉한 경험이 있으며, 국민도 31%는 8촌 이내 친인척으로 재외동포가 있어 생활 가까이에서 직ㆍ간접적으로 재외동포와 관련을 맺고 있었다. 또, 국민 중 66%는 재외동포에 친근감을 느끼며, 70.9%는 재외동포들에게 사건이나 문제가 생긴 경우 우리 일처럼 받아들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서적으로 강한 연대감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민에 대해서는 국민 전체의 51.9%가 ‘고려해 봤다’고 응답해 이들이 잠재적으로 동포가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민증가가 국가에는 긍정적인 영향(37.2%)보다는 부정적 영향(38.9%)을 더 많이 미칠 것으로 우려하고 있었다.
이민을 고려한 이유로는 새로운 기회(23.6%), 낮은 삶의 질(19.9%) 순으로 나타났으며, 희망하는 지역은 대양주, 캐나다, 미국, 유럽 순이었다.
우리나라에 대한 역사인식을 묻는 질문에는 66.2%가 ‘자랑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으며, 81.5%는 ‘한민족이라는 사실에 긍지가 있다’고 답했다. 이들 중 재외동포와 한번이라도 접촉이 있었던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에 비해 역사의식과 민족자긍심 항목에서 각각 11.5%, 8.7% 높은 긍정적 응답률을 보여 국민들이 재외동포와 만날 때 더 애국적인 성향을 띠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는 초ㆍ중ㆍ고교생들의 민족 및 역사교육에서 재외동포 부문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재외동포에 대한 지원·정책적 고려에 대한 질문에는 ‘미약하다’( 36.4%), 잘 모르겠다(32.1%), 적정하다(17.4%) 순으로 나타나 동포에 대한 모국의 고려가 아직 충분치 않다고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부분과 관련해서는 민족정체성 부분(42.5% ), 재외국민 보호(31.1%), 거주국 정착을 위한 정보제공(24.4) 순으로 나타나 한민족 정체성 유지에 대한 지원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지적됐다.
올해 헌법재판소의 결정으로 이슈가 된 재외국민의 참정권과 관련해서는 긍정적 효과(33.4%)가 부정적 효과(21.6%)보다 더 클 것으로 응답, 대체로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투표권 부여 범위에 대해서는 대통령선거(34.3%)-국회의원비례대표선거(12.7%)-국회의원지역구선거(11%) 순으로 나타나 중요도나 대표성이 높은 선거일 수록 동포들의 참여폭을 넓게 인정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현재 재외동포 정책에 대해서는 가장 역점을 두고 있는 ‘거주국에서의 모범시민 정착’에 대해서 45.6%가 대체로 옳다고 응답했으나 ‘한민족공동체 정책’이 우선이라는 의견도 30.8%로 높게 나타나 국민들이 한민족 공존공영을 위해 재외동포와의 협력과 연대에도 매우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상의 설문조사결과는 향후 재외동포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쓰여질 계획이다.
재외동포재단 개요
전세계 670만 재외동포들이 민족적 유대감을 유지하면서 거주국 내에서 그 사회 모범적인 구성원으로 살아갈 수 있도록 이바지하기 위해 설립된 외교통상부 산하 비영리 공공법인이다.
웹사이트: http://www.okf.or.kr
연락처
재외동포재단 홍보팀장 조형재 02-3463-6500(611) FAX :3463-2555
CP :011-9894-7346 이메일: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