휴대형 디지털 복합기기 속에 녹아든 특허기술들
이런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려면 개별 기능에 최적화된 다수의 프로세서들이 하나의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에 원활하게 접근해야 하는데 이때 교통정리 역할을 하는 메모리 접근 기술이 매우 중요해진 때문이다.
특허청(청장 전상우)에 따르면, 이와 같은 디지털 복합기기에 적용될 수 있는 데이터 저장 및 메모리 접근 기술과 관련된 특허출원이 최근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 기술 특허 출원 동향을 보면, 2000년 이후 매년 약 20%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다. 2003년에 81건에 머무르던 출원건수는 2007년 162건으로 2배가 증가하였으며, 등록건수도 2003년 47건에서 2007년 127건으로 크게 증가하였다.
이 기간의 국가별 출원 동향을 보면, 국내 출원인이 70%, 외국 출원이 30% 정도의 비율이며, 외국 출원 중 미국 45%, 일본 35%, 유럽 16%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주요 출원인을 국적별로 보면 한국 출원인 중에는 삼성전자 206건으로 가장 많고, LG전자, 엠텍비젼, ETRI 등의 순이며, 일본 출원인으로는 소니, 후지쯔, 도시바 등이 있고, 미국 출원인에는 IBM, 인텔, 마이크로소프트, 샌디스크 등이 있으며, 유럽에서는 필립스가 주도하고 있다.
한편, 이 기간의 특허 생존율*을 보면 2003년 이전에는 60~70%정도였으나, 2004년 이후에는 100%에 근접하고 있으며, 국제특허출원(PCT)도 2005년 이후 매우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 향후 이 분야의 첨단 기술에 대한 특허권 확보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해석된다.
특허청 컴퓨터심사팀 이강민 팀장은 “다양한 콘텐츠를 활용하기 위한 사용자 요구에 높아지면서 휴대용 디지털 기기들의 기능 복합이 지속되고 관련 기술의 특허출원이 앞으로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특허청 개요
특허청은 특허와 실용 신안, 디자인(의장) 및 상표에 관한 사무와 이에 대한 심사, 심판 사무를 수행하는 산업통상자원부 소속 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를 두고 있다. 조직은 기획조정관, 산업재산정책국, 정보기획국, 고객협력국, 상표디자인심사국, 기계금속건설심사국, 화학생명공학심사국, 전기전자심사국, 정보통신심사국으로 구성되어 있다. 소속기관으로 특허심판원과 특허청서울사무소, 국제지식재산연수원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kipo.go.kr
연락처
정보통신심사본부 컴퓨터심사팀 사무관 권오성 042-481-8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