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7 의약품산업 분석 보고서 발간

서울--(뉴스와이어)--한국보건산업진흥원(원장 이용흥)은 최근 세계 의약품시장, 주요국 시장동향, 우리나라 의약품시장 동향, 의약품산업의 주요기업 경영성과 동향을 분석한 “2007년 의약품산업 분석 보고서”를 발간하였다.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 세계 의약품시장 규모는 6,430억불로 2005년 대비 7% 성장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최근 3년간은 전년대비 성장률이 감소하고 있다.

국가별로는 여전히 미국, 일본이 세계시장에서 압도적인 점유율을 보이며 1, 2위를 기록하였고, 세계시장 9위와 10위를 차지한 중국과 브라질이 10% 이상의 고성장을 보였다.

또한 세계시장에서 제품별 판매는 2001년 이후 고지혈증 치료제인 화이자사의 Lipitor(136억불)가 부동의 1위를 지키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Nexium(67억불), Seretide/Advair(63억불)의 순으로 기록되었다.

세계의약품 시장의 업체별 판매현황은 화이자가 부동의 1위를 고수하고 있으며 상위 10위까지 모두 미국과 유럽의 업체인 것으로 나타났고 이들 업체들은 모두 연구개발 비중이 15%이상 이었다.

※ 연구개발투자: 화이자(7.6%), 글락소스미스클라인(6.5%), 존슨앤존스(21.5%), 머크(21.1%)

2006년 우리나라 의약품산업의 총 생산액은 2005년 대비 8.2% 증가한 11조 4,728억원을 기록하였고 전문의약품 총 생산은 2005년 대비 11.1%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인구의 고령화와 경제성장 및 건강에 대한 사회적 관심으로 의약품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것에 기인하였다.

※ 전문의약품 비중 변화: ‘01년 62.8% → ’06년 74.5%

전문의약품의 상위 20개 약효군이 전문의약품 전체 생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80.0%였으며 일반의약품도 83.5%로 상위 약효군에서의 업체들의 경쟁이 심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나라의 의약품 수출입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2006년의 경우 의약품 수입액은 34.3억불, 수출액은 9.0억불로 무역수지 적자가 25.2억불을 기록하였는데, 이는 2001년 6.8억불에 비해 30.1% 증가한 수치이다.

완제의약품의 수출 및 수입 증가율은 2005년 대비 각각 18.16%와 43.26%로 크게 증가하여 우리나라의 의약품 시장이 완제의약품에 치중되어있음을 간접적으로나마 파악할 수 있다.

2006년 기준 의약품 제조업소 123개소(상장 35개소, 코스닥 등록 기업 20개소, 기타 68개소)대상 우리나라 의약품산업의 주요 경영성과를 분석하여 보면 2006년 총 매출액은 94,107.8억원으로 2005년 대비 9.3% 증가하였다.

그러나 매출원가율은 2006년 48.1%로 2005년 대비 소폭 감소하였고 판관비율은 2006년 39.9%로 2005년 대비 다소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2006년 12.0%로 전년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다.

올해 보고서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생산액자료만을 이용하여 분석하던 틀에서 탈피하여 개별기업에 대한 경영성과 분석자료를 추가하여 의약품관련 기업 및 정부관계자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또한 해외 주요국별 자세한 자료를 수록하였으며 개별 약효군별 분석자료도 제공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진흥원은 본 보고서가 향후 국내 의약품자료에 대한 국내 최고의 정보제공서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해 나갈 예정이다.

보고서의 전문은 진흥원 홈페이지(http://www.khidi.or.kr) 진흥원발간물(연구보고서)에 공개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개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보건산업의 육성 발전과 보건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지원사업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건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웹사이트: http://www.khidi.or.kr

연락처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정책개발단(산업분석팀) 이병관 02-2194-74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