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보건산업진흥원, 2007 화장품산업 분석 보고서 발간

서울--(뉴스와이어)--2006년 세계화장품 시장은 총 2,697억불 규모로 2005년 대비 4.7% 성장하였으나 세계경제의 성장세 둔화의 영향으로 2004년과 2005년 9.4%, 8.2%성장에 비해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국내 화장품산업의 총생산규모는 2006년에 7.8% 증가한 3조 9천803억원으로 국내총생산(GDP) 대비 0.47%를 차지하여 05년 0.46%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국내 제조업에서 화장품산업이 차지하는 비중도 1.9%로 05년 1.8%에 비해 소폭 상승하였다.

화장품 유형별 생산실적을 보면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기능성 화장품의 상승률이 26.1%로 크게 성장하여 점유율이 18.9%를 차지하였다. 점유율 1위의 기초화장품은 2006년도에 45%의 점유율로 전년대비 5.1% 성장하는데 그쳤다. 그 외에 면도용 화장품, 눈화장품, 목욕용 화장품 유형도 10% 이상의 성장률을 기록하였다. 반면 방향용, 매니큐어용 화장품, 염모용 제품의 경우에는 10% 이상의 감소율을 기록하였다.

기초화장품 세부유형별 점유율을 보면 영양오일(8.5%)의 생산액이 증가하여 점유율 1위를 차지하였고, 그 뒤로 유연화장수(7.8%), 영양크림(7.2%), 영양화장수(7.1%) 순으로 점유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2005년과 비교하면 바디화장품이 29.1% 성장률로 가장 크게 증가하였고 영양오일이 26.1%, 마사지크림 12.6%, 영양크림 10.6% 순으로 성장하였고, 반면 파우더제품은 83.3% 감소하였고 아이크림(-25.4%), 팩(-24.4%) 등도 생산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능성 제품군의 세부유형별 점유율은 자외선차단(7.4%), 주름개선(5.8%), 미백(4.6%) 순으로 점유율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생산액은 2005년에 비해 미백유형이 36.3% 크게 증가하였고 자외선차단(25.4%), 주름개선(22.8%), 복합유형(12.0%) 모두 증가하였다. 향후에도 피부노화를 관리해주는 안티에이징(anti-aging) 관련 제품을 비롯하여 소비자의 욕구증가에 따라 기능성화장품의 성장이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메이크업세부유형별 점유율은 페이스파우더(2.4%), 파운데이션(1.5%), 립스틱(1.3%) 순으로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이들 유형의 성장률은 전년도에 비해 크게 감소하였다. 볼연지, 기타 메이크업 제품류, 립글로스 제품은 생산실적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06년도 화장품수입액은 전년대비 13.4% 증가한 6억 188만불이며 수출은 6.5% 증가한 3억 459만불을 시현하였다. 이에 따라 화장품 무역적자규모는 2006년도 2억 9,728만불로 전년도 2억 4,466만불에 비해 21.5% 증가하였다.

2006년도 37개 화장품 법인의 전체 매출액은 4조 4,136억원으로 전년대비 6.4% 증가하였다. 상위 10개 기업의 매출액이 전체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002년 75% 수준에서 2006년도에는 80%로 증가하였다. 37개 화장품 법인의 원가율은 2006년 42.9%로 2005년 43%에 비해 소폭 감소하였다. 반면 매출액대비 판매관리비비율은 06년 48.3%로 전년도 47.8%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이에 따라 영업이익률은 06년 8.8%로 05년 9.2%에 비해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이익률도 06년 8.3%로 전년도 9.6%에 비해 감소하였다. 당기순이익률도 5.7%로 전년도에 7.3% 비해 감소하였다.

한편 2006년 매출액을 기준으로 상위 10개 기업의 연구개발비 투자규모는 804.5억원으로 매출액대비 2.3%를 차지하여 전년도 2.1%에 비해 소폭 증가하였다.

올해 보고서의 가장 큰 특징은 기존 생산액자료만을 이용하여 분석하던 틀에서 탈피하여 개별기업에 대한 경영성과 분석자료를 추가하여 화장품관련 기업 및 정부관계자의 수요를 충족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진흥원은 본 보고서가 향후 국내 화장품자료에 대한 국내 최고의 정보제공서가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노력을 경주해 나갈 예정이다.

보고서의 전문은 진흥원 홈페이지(http://www.khidi.or.kr) 진흥원발간물(연구보고서)에 공개하고 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 개요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보건산업의 육성 발전과 보건서비스의 향상을 위한 지원사업을 전문적·체계적으로 수행함으로써 보건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고 국민보건 향상에 이바지 하기 위해 설립되었다.

웹사이트: http://www.khidi.or.kr

연락처

유선주 2194-74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