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나노기술 산업화지원 성과 커
대전시는 나노종합팹센터를 이용하는 기관, 벤처기업 등이 지난해 전년도(‘06년)보다 49% 증가한 363개(산 68%, 학 24%, 연8%)기관을 확보하고, 지난해 5,517건을 팹서비스 하는 등 ’05년 1,720건, ‘06년 4,415건 등 1만2,000여건을 제공했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61%인 7,300여건을 시 관내 기관, 업체가 활용해 산업화에 이용하는 등 산업화 지원성과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특히, 지난해 5월 개발한 180nm 스텐다드 CMOS 로직기술은 산업화기술을 적용해 시제품 제작 및 소량생산까지 지원할 수 있는 기술로 앞으로 NEMS(나노정밀기계기술), 바이오/칩 등 실리콘기술과 접목한 융합기술을 지원할 수 있게 됐고, 정보전자부품소재 기술혁신센터도 나노팹종합센터에 설치돼 이용율이 크게 높아질 전망이라고 밝혔다.
시 관계자는 “나노종합팹센터의 산업화 지원을 위한 핵심기술과 기반 인프라시설 확보로 오는 2010년까지 50여개 이상의 우수 벤처기업 창업과 유입이 예상된다”며 250여개의 관련기업체가 공동연구, 산업화단지 입주 등 직·간접적으로 대전지역으로 유입되는 효과가 기대된다“고 밝혔다.
나노종합Fab구축사업은 지난 2002년부터 오는 2011년까지 9년간 총 3,000억원이 투입되는 나노기술 연구개발 지원을 위한 첨단산업 인프라구축사업으로 대전시는 팹장비 및 시설구축을 위해 9년간 200억원과 나노기술 산업화 지원을 위한 나노기술산업화 부지 약 33,025㎡를 지원하고 있다.
대전광역시청 개요
대전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염홍철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습니다. 대전시는 대전엑스포, 정부대전청사 유치, 유성 관광특구 지정, 대덕연구개발특구 지정, 현행 대전역 인근의 고속철도 주변 정비사업을 통해 끊임없이 발전해 왔습니다. 또한 버스준공영제와 전국이 부러워하는 복지만두레 시책으로 서민들에게 큰 혜택을 주고있으며, 대전지하철시대 개막, 100년만의 동서관통도로 개통, 각종 문화예술 인프라 확충 및 도심공원화 사업도 착실히 추진하고 있습니다. 염홍철 시장은 대전경제를 위해 서비스산업의 고도화, 의료웰빙산업 육성을 통해 일자리를 창출하고 대덕연구개발특구를 중심으로 고부가가치 미래 성장동력산업을 육성하고 있습니다.
웹사이트: http://www.metro.daejeon.kr
연락처
대전광역시 과학산업팀 임재호 042-600-3582
-
2014년 6월 20일 1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