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석유제품 ‘소비 양극화’ 경향

서울--(뉴스와이어)--지난해 국내 석유류 제품 소비는 양극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등유와 벙커-C유의 소비는 감소한 반면, 나프타(주로 국내 석유화학원료용으로 사용)와 경유, 휘발유, 항공유 소비는 증가했다. 가정과 상업 부문의 소비는 감소한 반면, 산업·수송 부문의 소비는 증가한 것이다.

가정용 소비로 집계되는 석유 제품은 등유와 벙커-C유 등 난방과 관련된 게 대부분이다. 가정 부문의 소비가 준 이유는 등유가격 상승과 도시가스 보급 확대 등이다.

한편 휘발유와 경우, 항공유 등 수송 부문의 소비는 전전년 대비 2 .5% 증가했다. 특히 휘발유 소비의 경우 2006년에는 2005년에 비해 0.5% 증가하는데 그쳤으나, 2007년에는 전년에 비해 4.4%가 늘어 증가폭만 놓고 보면 무려 9배에 달했다.

또한, 산업용원료로 사용되는 나프타를 제외한 석유제품(휘발유, 경유 등) 소비는 0.2% 감소하여 소비정체가 지속되는 현상을 보였다.

이런 소비의 양극화 현상은 ▲국내 석유제품가격의 상승 ▲외환위기 이후 소득 증가세 둔화 ▲각종 환경규제 강화 ▲LNG 등 타 연료 대체 ▲에너지 저소비산업 성장 등의 영향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 석유제품별 소비 동향

휘발유 소비는 자동차등록대수 증가(2.1%)와 유사휘발유 사용자에 대한 단속 강화로 2006년 0.5%에서 2007년 4.4%(7,167 B/D)로 대폭 증가했다.

경유와 항공유 소비는 수출(’07년 14.2%증가) 및 경제성장률 호조(’07년 4%후반 성장) 둥에 힘입어 화물수송량과 해외여행객이 증가하면서 각각 2.0%, 3.6% 증가세를 지속했다.

등유 소비는 국내가격 상승과 도시가스 보급 확대 등으로 16.9% 감소했다.

*국내 주유소 등유가격(원/ℓ):’97)373.5→’01)580.2→’04)752.2→’06)931.9→’07)932.2
*도시가스 보급률(%):’98)49.0→’01)61.4→’04)66.5→’06)70.1→’07)73.0

벙커-C유 소비는 정보통신산업 등 에너지 저소비 업종의 비중 상승과 환경규제 강화의 영향으로 산업 및 수송부문에서 대폭 감소함에 따라 4.2% 감소했다.

*산업·수송부문 벙커-C유 소비량(천배럴):산업부문 ’06)35,824→’07)30,868(△13.8%), 수송부문 ’06)23,749→’07)22,003(△7.4%)

산업용원료로 사용되는 나프타 소비는 세계경제의 전반적 성장에 따라 석유화학산업의 호황이 지속되고 석유화학시설 증설로 인한 수요 또한 증가해 7.8% 늘었다.

*석유화학시설 증설현황 : 여천NCC(주) 35만톤(’06.12월), 삼성토탈(주) 20만톤(’07년), LG화학(주) 20만톤(’07년)

한편 지난해 전체 석유소비를 살펴보면 고유가 지속에도 불구하고 견조한 증가세를 보여 2006년 대비 2.8% 증가한 7억 8643만 1천 배럴을 기록했다.

그러나, 산업용원료로 사용되는 나프타를 제외하면 석유제품(휘발유 등) 실제 석유소비는 2006년 대비 0.2% 감소한 4억 7746만 7천 배럴에 머물러, 외환위기 이후 약 10년간 지속되고 있는 소비정체가 구조적인 현상으로 굳어지는 양상을 보였다.

*석유소비 전년대비 증감율(%) : ’97) 3.3 → ’00) 2.5 → ’03) △1.4 → ’07) △0.2 → ’08)0.5 → ’11)△0.3 → ’14) △0.1 → ’17)0.6 → ’20) 0.7

이런 현상은 20년 동안의 석유소비-국민총생산(GDP) 탄성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석유소비는 1990년 이후 실질GDP와 동반 소비 증가세를 지속해 실질GDP가 1% 증가할 때 소비는 1.9%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1998년 이후에는 실질GDP가 1% 증가해도 소비는 0.3% 증가에 그쳐, 외환위기 이후 실질GDP 증가분에 미치지 못하는 소비구조를 갖게 됐으며 이같은 추세는 2020년까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

□ 석유제품 수급 동향

지난해 총 석유수요(국내소비+제품수출+국제방카링)는 고유가에도 불구하고 내수가 견조하게 증가해 2006년 대비 1.9% 증가한 11억 2890만 배럴을 기록했다.

총 석유공급(생산+제품수입)은 정유시설의 정기보수에 따른 생산 감소에도 불구하고 석유화학 원료인 나프타의 수입 증가로 2006년 대비 1.3% 증가한 11억 5590만 배럴을 기록했다.

원유 수입은 정제시설 보수에 따른 가동률 저하(‘06년 86.8% → ’07년 86.2%)로 생산이 감소하면서 2006년(888.8백만배럴) 대비 1.7% 감소한 8억 7350만 배럴을 기록했다.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산업자원부 석유산업팀 박청원 팀장, 정두식 주무관 02-2110-786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