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농업기술센터, 농작물과 축사관리 철저 당부
기상청은 올봄(3월~5월) 황사 발생일수가 지난 29년(1979년~2007년) 평균값인 5.1일 보다 많을 것이라고 밝혔다.
황사는 비닐하우스나 온실 등 원예시설 내에 투광도를 감소시켜 오이, 호박, 토마토 등의 시설재배 작물피해를 발생시키고, 노지재배 농작물에는 잎의 기공을 막아 생육장애를 일으키며, 축산에 있어서는 소, 돼지, 염소, 사슴, 양 등의 우제류는 구제역 발생 위험성을 높인다.
이에 따라 농업기술센터는 다음과 같이 황사에 대비한 농작물과 가축사양관리 요령을 당부했다.
황사발생시 비닐하우스, 온실 등 시설물의 출입문과 환기창을 닫아 황사 유입을 막아주고 하우스 피복재에 먼지가 쌓여 오염정도가 심해지면 광투과율 저하로 인한 작물의 피해가 예상되므로 피복재 위에 쌓인 흙먼지는 물로 깨끗이 씻어주어야 한다. 동력분무기나 손 세척을 하면 효과가 가장 좋다.
소량의 강우 등으로 흙먼지가 비닐에 부착되었을 경우에는 수용성 세제를 0.5%로 희석하여 피복재에 분무 후 씻어주며 유리에 붙은 분진은 4% 옥살산 용액을 이슬이 내리거나 비가 온 날에 뿌려주고 3일후에 물로 씻어준다.
가축관리에 있어서는 축사의 환기창이나 출입문 등을 닫고 외부 공기와의 접촉을 가능한 적게 하며 운동장이나 방목장에 있는 가축은 축사 안으로 신속히 대피시킨다.
야외에 방치하였거나 쌓아둔 건초·볏짚 등은 비닐이나 천막으로 덮어주고 황사가 끝나면 축사 주변과 건물 내외부를 물로 씻어낸 후 소독하고 방목장의 사료통과 가축이 접촉하는 기구도 세척 또는 소독을 실시한다.
가축이 황사에 노출되었을 때에는 솔로 털어낸 후에 몸체를 물로 씻어주고 구연산 소독제 등으로 분무소독을 실시한다.
황사가 끝난 후 1~2주일 동안은 병든 가축의 발생유무를 집중적으로 관찰하고 병이 발생되면 관할 읍·면·동사무소나 농업기술센터, 시, 군 등에 신속히 신고해야 한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앞으로 자주 발생할 황사에 대한 피해 예방요령 등을 적극 홍보하여 농가들의 황사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 하는데 최대한 노력을 하겠다”고 말했다.
울산광역시청 개요
울산광역시청은 12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부터 김기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다. 품격있고 따뜻한 창조도시 울산을 목표로 삼고 안전제일 으뜸 울산, 동북아 경제허브 창조도시 울산, 최적의 도시인프라 매력있는 울산, 품격있는 문화도시 울산, 이웃사랑 복지 울산, 건강친화적 환경도시 울산, 서민 노동자와 기업이 함께하는 동반자 울산으로 만들어 나가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ulsan.go.kr
연락처
울산시 농업기술센터 윤경호 052- 229-5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