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금연연구소 칼럼-부산도 서울처럼 ‘금연버스 정류장’ 사업 실행할 때다
요즘 부산의 각 지자체가 흡연으로 발생되는 피해를 없애고, 주요문화재 등의 화재예방을 위해 관광지와 유원지에서는 담배를 피우지 말아 달라는 금연구역 선포가 이어지고 있다.이처럼 지자체 간에 금연구역이 선의적 경쟁으로 확산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한 일이기에 한국금연연구소(고문, 정의화 국회의원)는 환영의 뜻을 밝힌다.
물론 현행 국민건강증진법상 실내 공중이용시설에만 금연구역 지정이 의무화 돼 있는데다 실외 금연구역 내에서 금연은 강제규정이 없어 그 실효성에는 의문이 제기되고는 있지만, 이제껏 큰 틀에서의 범시민적 금연운동을 도외시해 오던 부산의 구청들이 공공장소에서의 혐연권을 존중하자며 '금연구역 선포라는 정책적 캐치플레이'를 들고 나온 것은 칭찬받을 일이며, 그 선언이 갖는 의미 또한 매우 크다고 본다.
이처럼 여러 지자체가 금연운동 확산에 목소리를 높이는 것은 고무적이지만 보다 광의적이고 진일보한 금연운동이 부산에 점화되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다. 비근한 예로 작년에 서울시는 8600여개 버스정류소와 10개 주요공원 등에 금연구역을 확대운영하여 우리나라 금연운동에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다.
뿐만 아니라 사후관리 차원에서 꾸준하게 시민단체와 함께 개도활동에도 적극성을 띄고 있고, 또한 금연아파트 지정사업을 국내 최초로 시도해 대한민국의 수도다운 면모를 보이면서 선도적 역할을 하고 있다. 본연구소가 보기에는 서울특별시(시장, 오세훈)는 이미 세계금연운동사에 큰 획을 긋는 위대한 업적을 남긴 것이다.
그러나 부산은 대한민국 제2의 도시인데다 국제 항만도시임에 비추어 볼때 이 정도의 노력만으로는 남을 배려하는 선진금연도시가 되기에는 매우 미흡하다는 생각이 든다. 가끔 이용하지만 아직도 도로에는 담배냄새로 찌들어 있는 택시가 비일비재 할 뿐더러 도심외곽에 위치한 수많은 버스정류장 부근은 온통 담배꽁초로 어지럽게 널려있는 것을 출근때 마다 목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울산 다음으로 부산이 타지역에 비해 성인 흡연율과 개인의 하루 흡연량에 있어서도 다소 높기 때문이다. 저출산 및 인구역외 유출이 어려운 부산의 경제사정을 일층 부추겼고, 지역의 특성상 다혈질적이고 화끈한 성격의 경상도 기질이 맞물려 발생되는 부정적 시너지현상이라 분석 해보지만 지금부터라도 문제해결에 지혜를 모은다면 부산이 일등 선진금연도시로 탈바꿈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끝으로 귀감 정책사례를 소개 할까 한다. 작년부터 묵묵히 구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해 관내 금연버스 정류장 사업을 실행해온 서구청(청장, 박극제)에 응원의 박수를 보낸다. 이제 부산도 각구청의 금연구역 확대선포 움직임에 머물 것이 아니라 보다 큰 틀에서 모든 시민의 혐연권 보장을 위해 하루빨리 "금연버스 정류장 사업"을 추진할 것을 부산시에 제언해 본다.
한국금연연구소 최창목 소장
한국금연연구소 개요
청소년선도 및 범국민 금연운동을 목적으로 1997년부터 활동을 시작하였으며, 1999년 5월26일 부산상공회의소에서 (사)한국금연연구소 창립발기인대회를 통해 본격적인 공익활동을 천명한 금연운동(연구)단체로써 흡연의 폐해를 조사, 연구하여 언론에 발표하는 등 금연정책에 대한 비판과 대안을 제시하고, 각 기관,기업,학교,군부대 등을 순회하며 홍보교육하는 전문기관이다.
웹사이트: http://cafe.daum.net/kns11
연락처
홍보교육팀 051)637-19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