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북도 경영혁신추진단 신설 후 경영혁신 추진계획 수립으로 기초 다져
그 동안 언론 등에 자주 거론되어 온 道 출연기관들의 핵심사업 중복 추진과 예산 낭비 사례가 지적됨에 따라 『2008년도 공기업·출연기관 등의 예산편성 및 집행지침안』을 마련하여 시행하였고, 작년 12월에는 도 산하 출연기관 등의 CEO 및 임원대상 워크숍 등을 통하여 도 출연기관들의 예산의 효율적 집행과 타성적 업무추진 행태가 눈에 띄게 달라졌고 조직 활성화와 업무수행 능력을 한 단계 업그레이드 시킨 계기가 되었다.
그간 도 산하기관별 경영혁신 추진성과를 보면
<경영혁신추진단 현장점검 결과 08.1.10~18(9일간)>
책임경영부문에는 조직정비·인사·보수 등 규정·정관 개정(전북중기센터, 니트산업연구원, 전북T/P, 생물산업진흥원, 전북신보), 이사회운영관련 개정(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 이사회 책임강화(전북개발공사, 전북신보), 이사장 비상근 원장제 도입(전북운수연수원) 등이다.
경영관리부문에 있어 조직체제를 팀제로 전환(전북중기센터, 전북운수연수원), 직급별 평가 및 다면평가제 도입(전북T/P, 전북여성교육문화센터, 전북개발공사), 정원 8명 감축·직원정년 만55세로 조정(전북운수연수원), 도정현안업무 중심으로 조직체제 정비(전발연), 매월 진료실적 평가 등 혁신적인 인사운영(군산의료원) 등이다.
사업운영 및 고객만족 부문에 있어서는 국제공인시험기관 인정기관 등록(자동차부품혁신센터), 창업지원을 위한 시제품 개발의 공동 활용 장비 이용 활성화 제도 도입(생물산업진흥원), 스포츠·캐주얼 등 고부가가치 상품으로의 연구영역 확대(니트산업연구원), 이슈브리핑제 운영, 연구진행 과제관리시스템 도입(전발연), 고객서비스헌장 개정 및 고객만족도조사 실시(전북개발공사, 군산의료원) 등 가시적인 성과로 나타나고 있다.
도는 이에 만족하지 않고 공정한 평가와 경영시스템 구축 등 그동안의 경영혁신에 가속도를 내기 위해 도 출연기관 등 17개 기관(출연기관9, 위수탁기관7, 보조단체1)에 대한 경영평가를 실시할 계획이다.
세부일정은 3월 20일경 경영평가단(학계·전문가 24명 중심) 구성후 기관별 공통지표외에 사업부문 세부지표 개발이 완료된 후 4~5월까지 평가점검표에 따른 서면심사와 기관방문을 통한 현장실사 평가를 실시하고 고객만족도 조사를 전문용역기관을 선정 내·외부고객 1,250명을 대상으로 전화설문을 5월경 병행하여 실시한다.
경영평가가 마무리 되면 경영평가 결과보고서를 작성한 후(6월초), 도 경영평가위원회 심의(6월말)를 거쳐 최종 도의회에 보고(8월)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자율·책임경영체제의 확립과 저비용·고효율 조직구조의 정착, 고객서비스 강화 및 경영 투명성 제고 등 도민으로부터 신뢰받고 경쟁력 있는 기관으로 인정받을 것이다.
또한, 평가결과에 따라 산하기관별 경영개선을 유도하고 고객중심의 조직운영을 위해 지속적인 신규사업 발굴 등 우수경영사례 파급· 확산에 주력할 것이며, 오는 10월경에는 우수기관에 대하여 인센티브로 별도 시상금 및 포상을 수여할 방침이다.
〔주요내용〕
4대 추진전략 : ① 자율·책임경영체제 확립 ② 저비용·고효율 경영
구조 정착 ③ 투명한 윤리경영 실천 ④ 경영평가제도의 내실화
10대 추진과제 : ① 이사회 기능강화 ② CEO 및 임직원 경영·업무
성과계약·평가제 실시 ····· ⑨ 경영평가제도 시행 고객평가의 강화
전라북도청 개요
전라북도청은 186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송하진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송하진 도지사는 한국 속의 한국, 생동하는 전라북도를 토대로 안전하고 건강한 사회, 창의롭고 멋스런 문화, 알뜰하게 커가는 경제, 따뜻하고 정다운 복지, 아름답고 청정한 환경을 도정방침으로 정했다.
웹사이트: http://www.jeonbuk.go.kr
연락처
전라북도청 기획관리실 경영혁신추진단 경영혁신담당 박래범 063-280-37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