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 ‘유해화학물질 관리대책’ 마련 추진

대구--(뉴스와이어)--대구시는 지난 3월 1일 낙동강 페놀 유입 사고와 관련, 유독물 유출 시 처리대책 등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유해화학물질 관리대책」을 마련해 추진한다.

대구시는 유해화학물질 유출 사고가 발생할 경우 산업단지는 환경부 국비 386억원을 전액 지원받아 설치한 완충저류시설을 통해 유독물 직유입을 차단하고, 산업단지 외 지역은 하수처리장으로 유입 처리하여 낙동강으로 유독물이 직유입되는 경우가 없다.

성서산단은 사고 시 대명천 수문을 차단하고 공단 유수지 저류조를 거쳐 폐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 처리되며, 방류수는 대명천 자연정화처리시설을 거쳐서 낙동강에 방류한다.

유독물 다량 취급업소가 많은 염색산단, 제3공단, 달성1·2차 산단에는 완충저류시설이 설치되어 있어 사고 시 유해물질 하천 직유입을 차단하여 동 시설에서 저류 후 하수처리장 또는 폐수처리장에서 방류한다.

또한 2009년 2월 서부하수처리장에 비점오염저감시설이 설치되면 산업단지별로 완충저류시설을 모두 갖추게 된다.

하수처리장 설치 중인 달성군 지역의 9개 사업장은 사고 시 농수로 수문을 차단하여 낙동강 직유입을 방지할 수 있으며, 2009년 4월 현풍하수처리장이 준공되면 유입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2006년 12월에 유해화학물질 등으로 인한 사고수습 체계를 마련하고자 「대규모 환경(수질)오염」현장조치행동 매뉴얼을 작성하여 유관기관에 배포하여 운영하고 있다.

아울러 화학물질사고대응정보시스템을 시, 구·군, 소방 등의 기관에 구축하여 사고 물질 정보를 공유하고, 연 2회 수질오염사고 가상상황을 설정하여 방제훈련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 실시하는 방제훈련은 시장특별지시사항으로 불시에 실시할 계획이며, 3월 중에 대구지역 유독물 사업자에 대한 유독물 사고 시 대처요령 등에 대해 특별교육을 실시할 예정이다.

대구시는 유해학물질로 인한 사고발생 시 사고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환경, 소방, 경찰 등 대응기관과의 사고대응 시스템을 강화하는 한편, 사고예방 활동에도 최선을 다하고 있다.

한편, 현재 대구시에 등록된 유독물 업체는 392개소이며, 주로 수산화나트륨, 황산, 염산, 톨루엔, 메틸알콜 등을 취급하고 있다.

대구광역시청 개요
대구광역시청은 26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권영진 시장이 시정을 이끌고 있다. 권영진 시장은 시민행복과 창조대구를 이루기 위해 대구광역시를 창조경제의 선도도시, 문화융성도시, 안전복지도시, 녹색환경도시, 소통협치도시로 만들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daegu.go.kr

연락처

대구광역시 수질보전과 오페수관리담당 최규남 053-803-430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