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교 경제·사회과 교사들, “우리경제 미래 밝다”

서울--(뉴스와이어)--중고교 경제·사회과 교사들은 우리경제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새정부의 경제정책방향에 대해서도 대부분 지지하는 입장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대한상공회의소(회장 손경식)가 1월 29일부터 2월 1일까지 부산 센텀호텔에서 개최한 ‘제9차 선생님을 위한 경제와 문화체험’ 행사에 참가한 교사(130명)를 대상으로 실시한 “한국경제 및 학교 경제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도”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 교사의 72.4%가 우리경제의 미래가 ‘희망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19.3%는 현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반면 ‘비관적’이라고 답한 교사는 8.3%에 그쳤다.

또 새정부의 경제정책방향(규제완화, 유류세 인하 등 서민생활 안정대책 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9.9%(적극지지 28.4%, 다소지지 61.5%)가 ‘지지한다’고 밝혀 새정부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다. 반면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은 10.1%에 불과했다.

정부가 설정한 올해 경제성장 목표치(금년 1월 기준)인 6% 달성 여부에 대해서는 66.1%가 ‘어렵겠지만 달성 가능할 것’으로 응답하였으며, 27.5%는 ‘달성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대답했다.

또한 교사들은 정부가 가장 역점을 두어야 할 경제정책 과제로 ‘일자리 창출’(45.9%)을 1순위로 꼽아 취업난 완화가 시급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다음으로는 ‘규제완화’(21.2%), ‘양극화 해소’(16.5%), ‘세금감면’(11.9%), ‘노사안정’(2.7%) 등의 순으로 응답했다.

기업의 가장 중요한 역할을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과반수에 가까운 49.5%가 ‘이윤창출을 통한 국부증진’을 최우선으로 꼽았으며, ‘일자리 창출’(37.6%), ‘사회공헌’(9.2%), ‘근로자 복지증진’(3.7%) 등의 순으로 답했다.

한편 현행 학교 경제교과과정의 전반적인 수준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과반수가 넘는 52.3%가 ‘미흡하다’고 응답했으며, 40.4%는 ‘보통’이라고 답했다. 반면 ‘충분하다’고 응답한 교사는 7.3%에 불과했다.

경제교육이 미흡한 이유로는 ‘교사의 전문성 부족’(42.3%)을 가장 많이 꼽았으며, ‘부실한 교육내용’(28.2%), ‘수업시간 부족’(25.3%) 등이 뒤를 이어 현행 학교 경제교육이 질적인 면에서 뿐만 아니라 양적으로도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교육이나 연수를 받은 후의 효과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는 평소 기업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는 교사 55명 중 51명(92.7%)이 기업에 대해 긍정적인 시각을 갖게 됐다고 답해 이러한 교육·연수과정이 경제 실상과 기업의 역할에 대한 교사들의 이해도를 제고시키는데 매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공회의소 개요
대한상공회의소는 전국적, 세계적인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가진 국내 유일의 종합경제단체로서 축적된 경험과 전문성을 바탕으로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여 우리 기업의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orcham.net

연락처

대한상공회의소 윤리경영팀 박동민 팀장 6050-345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