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고가분양 아파트 인기 뚝

서울--(뉴스와이어)--연초부터 3월 현재까지 수도권 아파트값을 조사한 결과 대형 아파트값의 하락이 두드러졌다. 분양시장 역시 인근보다 분양가가 높은 아파트들은 대부분 순위내 청약을 마치지 못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1월 4일부터 3월 13일 현재까지 수도권 아파트값 변화를 살펴 본 결과 1기 신도시와 경기도 아파트값이 대형을 중심으로 하락세를 보였다.

부동산 시장이 낙관적이지 않다 보니 수요가 끊어진 것이 가장 큰 이유다. 결국 “비싼 아파트일수록 더 오른다”는 그동안의 통념이 깨진 셈이다.

이 기간 1기 신도시 아파트값을 주택형별로 보면 50형대(165~195m2)가 0.54%로 가장 크게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40형대(132~161m2)는 0.36%, 60형대이상(198㎡이상)도 0.31% 하락했다. 반면 20형대(66~95㎡)와 20형대미만(66㎡미만)는 각각 0.39%와 1.65% 올랐다.

특히 산본(-2.09%)과 일산(-1.23%)의 60형대이상은 하락률이 평균 1% 이상을 넘었다. 일산 50형대(-0.95%)의 경우도 1% 가까이 떨어졌다.

실제 일산 주엽동 208㎡는 연초보다 5천만원 떨어져 12억2천5백만원이며 산본 궁내동 솔거대림7단지 198㎡도 5천만원 하락한 8억5천만원 선이다.

경기의 경우도 대형아파트를 중심으로 하락했다. 60형대(-0.49%)가 가장 많이 떨어졌으며, 50형대(-0.20%), 40형대(-0.08%) 순으로 하락세를 기록했다. 중대형인 20형대(1.59%)와 30형대(0.04%)는 올랐다.

60형대이상에서 가장 하락폭이 컸던 곳은 부천으로 2.19%떨어졌다. 50형대는 화성으로 5.15%, 40형대는 군포에서 1.49% 하락했다.

실제 부천시 상동 쌍용스윗닷홈 198㎡는 4천만원 하락해 10억9천만원 이며 화성시 반월동 165㎡도 6천만원 떨어져 4억7천5백만원이다.

또 수도권에서 2월부터 3월 14일 현재까지 당첨자를 발표한 21개 분양 단지의 청약경쟁률을 살펴본 결과 무려 17개 단지에서 순위내 청약을 마치지 못했다(자료원: 아파트투유).

청약을 마치지 못한 단지들은 대부분 인근 아파트 시세보다 분양가가 높았다.

지난 12일 당첨자를 발표한 성수동 한숲 e-편한세상의 경우 총 1백96가구 공급에 29명만이 청약 신청을 했을 뿐이다. 분양가는 330㎡의 경우 45억원으로 3.3㎡당으로 환산한다면 4천5백만원 선이다.

이정도 분양가라면 성수동에서 비교할 만한 대상이 없다. 그나마 한강 건너 압구정동 아파트값과 비교한다고 해도 높은 것이 사실이다. 3월 현재 압구정동 아파트값은 3.3㎡당 4천만원 선이다.

같은 날 당첨자를 발표한 수원 영통 신창 아파트의 경우도 분양가가 높기는 마찬가지다. 1,2단지를 합해 모두 3백78가구가 공급됐지만 청약자는 19명에 그쳤다. 2단지 180㎡A의 경우 분양가가 8억7백80만원(기준층 기준)으로 3.3㎡당 1천4백만원 대다.

하지만 망포동에서 가장 대형인 늘푸른벽산 247㎡의 매매가는 7억2천만원으로 3.3㎡당 1천만원이 넘지 못한다. 50형대로 가장 새 아파트인 현대2차(2002년 10월 입주) 165㎡(매매가 평균 6억5천만원)와 비교해도 3.3㎡당 1백만원 이상 분양가가 높다.

웹사이트: http://www.drapt.com

연락처

닥터아파트 이영호 리서치팀장 02-516-0410(261) 010-3454-590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