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대대적 물청소로 황사피해 최소화
서울시는 황사 주의·경보발령(미세먼지 농도가 400㎍/㎥ 이상) 즉시 비상연락 체계를 이용하여 市·자치구·서울시설공단의 전 관련자에게 상황을 통보, 신속하게 대대적인 물청소를 실시하도록 하였다.
황사 주의보가 발령되면 노면진공청소차 153대, 도로물청소차 230대, 보도 물청소장비 12대 등 397대의 청소차량과 운전원, 환경미화원, 4,430명이 총 동원되고,황사제거를 위한 도로물청소의 원활한 용수공급을 위해 지하급수전 60개소, 소화전 550개를 확보하여 비상급수 체제로 사용하도록 할 계획이다.
아울러, 황사 피해를 줄이기 위한 도로물청소는 주·야를 불문하고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도로 및 보도, 가로시설물에 쌓인 황사를 최대한 제거한다.
우선, 황사 주의·경보가 발령되면 주요간선도로, 차도 및 보도 전체면에 충분한 물을 살수하여 대대적·집중적 물청소를 실시하고 주의·경보가 해제된 이후에도 버스중앙차로정류장, 보호난간, 방음벽 등 가로시설물과 가로수까지도 물청소차량의 방수포 등을 이용하여 말끔히 물청소를 실시하게 된다.
특히, 금년 3월부터 GIS 시스템을 활용한『청소차량정보관리시스템』이 본격 가동되어 황사로 덮힌 도로가 빠짐없이 청소될 수 있도록 작업구역, 물사용량까지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여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황사를 제거할 계획이다.
아울러, 점포주나 건물관리자들도 건물 앞 등 주변물청소에 적극 참여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서울시에서 특별대책을 시행하는 것은 황사로 인한 시민고객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것으로 도로에 쌓인 황사먼지가 재 비산되지 않도록 신속하게 물청소를 실시하여 시민고객의 건강을 보호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황사는 내몽골고원 및 고비사막, 황토고원 등에서 석영, 장석, 운모, 알루미늄 등의 성분을 포함한 흙먼지가 편서풍에 의해 이동하여 우리나라에 낙하하는 현상이며, 발원지 기상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횟수 증가 및 농도도 강해지고 있으며, 기상청은 금년 서울·경기지역의 3~5월 황사발생 일수를 10~15일로 예측하고 있다.
황사가 발생할 경우 호흡기 질환자 및 눈병발생이 크게 늘어나며 만성기관지염을 악화시키고 특히, 노인과 어린이에게 더욱 피해가 크며 가축, 농작물, 나무 등 생육장애를 유발시키기도 한다.
황사가 발생되면 창문을 닫고 노약자, 호흡기 질환자 등은 외출을 삼가되 외출시에는 보호안경, 마스크, 긴소매 의복을 착용하고 귀가 후 손과 발 등을 깨끗이 씻고 양치질을 하며, 황사 종료후 실내 환기 및 황사에 노출된 물품을 세척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서울시에서는 황사로 인한 시민들의 건강피해를 예방하고자「황사경보 상황실」을 맑은환경본부와 보건환경연구원의 환경정보센터 및 25개 자치구의 환경 관련부서에 각각 설치 설치하여 황사 발생 상황을 신속하게 전파하고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는 맑은환경본부에 황사대책 상황반을 편성하고 자치구(25), 서울시교육청(1), 유선방송(25), 고궁·공원·체육시설(33), 지하철공사(2) 등 황사발생을 시민들에게 홍보할 수 있는 86개의 유관기관들에게 신속한 전파체계를 구축토록 하였으며, 황사 발생시 24시간 비상근무를 하고 있다.
또한 시민들에게는 황사로 인한 건강피해를 예방하고 최소화할 수 있도록 대처요령과 황사가 지나간 후 해야 할 내용 등이 담긴 홍보 물을 제작하여 시민들에게 배부토록 하고 있으며, 인터넷홈페이지와 대기오염전광판, 지역 유선방송과 지하철 광고방송 등을 통해 봄철 시민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에 나섰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청 맑은환경본부 클린도시담당관 장동은 02-2115-7417, 011-9952-25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