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 2월 주요 유통업체 매출동향

서울--(뉴스와이어)--2008년 2월 대형마트의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1.5% 감소, 백화점 매출은 전년 동월 대비 5.5% 증가

식품 매출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대형마트는 전년과 달리 1~2월에 걸친 설 명절 관련 상품 매출 분산효과로 인해 매출 소폭 감소

백화점은 잡화·의류 부분 판매 호조와 더불어 윤년으로 늘어난 영업일수(1일)가 매출 증가에 영향

* 전년 대비 구정연휴 변동 (’07.2.17~19 → ‘08.2.6~8), ’08.2월 윤년 29일
* 전년 1~2월(설연휴 월간 차이 효과 통합시) 대비 매출은 대형마트 2.2%, 백화점 6.2%로 증가함.

주요 대형마트 및 백화점의 상품군별 추이를 보면, 대형마트는 잡화(△12.5%)·스포츠(△6.2%)·의류(△5.3%) 등 전 부문에서 매출 감소

- 초콜렛·사탕 등 스낵류, 소형가전제품(디지털카메라·게임기·MP3 등)의 판매호조에도 불구, 매출비중이 큰 대형가전 및 신선식품의 판매 감소폭이 커서 전체 매출감소에 영향

아울러, 최근 대형마트의 영업전략으로 확대되고 있는 PB상품(Private Brand 혹은 Private Label)은 전체 상품군에 고르게 분포하여 전체 매출의 10~20%를 차지함

- PB상품 도입의 전체 매출에 대한 영향은 아직 미미하다고 여겨지나, PB상품의 매출 추이 및 전체 매출 영향은 향후 주목할 필요

백화점은 식품(△8.9%) 부문을 제외한 명품(19.4%)·잡화(19.1%)둥 전 부문에서 매출 증가

- 명품·화장품을 비롯한 잡화부문, 가전·침구류의 매출 증가 등 전 부문에 고르게 판매호조를 보이며, 특히 전년대비 평균기온 하락으로 겨울 의류 상품의 매출 신장이 전체 매출 증가에 영향
- 식품부문은 주로 설 선물 세트상품 위주의 매출이 1~2월에 걸쳐 분산되어 전년보다 감소한 것으로 분석됨

2008년 2월 대형마트 및 백화점의 소비자 구매패턴은 전년 동월 대비 구매건수는 대형마트(0.2%)·백화점(7.1%) 증가, 구매단가는 대형마트(△1.7%)·백화점(△1.5%) 소폭 감소

- 구매 1건당 구매단가는 백화점이 71,885원으로 대형마트 48,149원에 비해 49.3% 높게 나타남

웹사이트: http://www.mke.go.kr

연락처

지식경제부 유통물류과 나승식 과장, 김은하 주무관 (2110-51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