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월 1일, ‘100세 시대 두뇌건강과 뇌교육’ 세미나 개최
100세 시대를 맞이해 단순히 오래 사는 것이 아닌 새로운 노년시대를 위한 지표를 제시하고 건강하고 성공적인 삶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오는 4월 1일 유엔자문기구 한국뇌과학연구원은 “100세 시대 두뇌건강과 뇌교육” 세미나를 개최한다.
이 날 세미나에는 노인건강 분야 세계적 권위자인 제시존스 교수(캘리포니아 주립대 플러튼, Center for Successful Aging 소장)가 방한해 ‘성공적인 노년을 위한 준비’란 제목으로 특별강연을 할 예정이며, 이승헌 한국뇌과학연구원장은 “100세 시대 인생경영 뇌교육”이란 주제로 ‘노인건강의 새로운 지표는 장수(長壽)가 아닌 꿈과 희망을 갖고 건강하게 사는 ’장생(長生)‘이 되어야 하며 그 실천적 방안으로 뇌교육을 제시할 예정이다.
제시 존스 교수는 이승헌 한국뇌과학연구원장과 지난 2월 미국에서 노인건강 분야 공동저서인 ‘In Full Bloom'을 출간하였으며, 이승헌 원장은 제시 존스 박사가 소장으로 있는 노인건강연구소를 방문해 뇌교육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번 제시 존스 교수의 방문은 그에 대한 답방 형태로 이루어졌다.
한국뇌과학연구원이 주최하고 뇌교육 국제보급단체인 국제뇌교육협회가 후원하는 이번 세미나는 고령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단순히 오래 사는 것 보다 건강하고 성공적인 노년을 바라는 많은 이들에게 뇌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그 실천적 방법으로서 뇌교육에 대해 새롭게 인식하는 계기가 될 전망이다. 세미나는 제시 존스 교수, 이일근 서울브레인신경과 원장 그리고 이승헌 한국뇌과학연구원장의 특별강연으로 이루어진다.
뇌교육은 현재 선진 교육계를 비롯해 국내외적으로 새로운 교육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노인건강 분야에서도 많은 각광을 받고 있다. 뇌교육은 미주 300여 개 초중고등학교와 시니어센터를 비롯 전 세계 약 3,000여 곳에 도입되어 있다.
이승헌 원장은 “뇌는 누구에게나 있어 가장 진귀한 보물이지만, 그것을 제대로 알고 활용하는 사람은 드물다”며 “100세 시대를 준비하는 지금, 단순히 오래 사는 ‘장수(長壽)’가 아닌 건강하게 자신의 꿈을 이루어가면서 행복하게 살아가는 장생(長生)이 새로운 노년의 지표가 되어야 하며, 그 실천적 방법으로서 뇌교육의 가치를 깨닫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주최기관인 한국뇌과학연구원은 유엔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로부터 2007년 7월 유엔자문기구로 공식지정을 받으며, 국제적인 뇌교육 기관으로 인정받고 있다. 또한, 캘리포니아 주립대 노인건강연구소는 성공적인 노년을 위한 각종 연구와 리서치를 진행해왔으며, 현재 노인들의 체력, 근력, 유연성 등을 측정하는 테스트로 전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시니어 피트니스 테스트를 개발, 보급하고 있는 곳이다.
[참고자료]
유엔은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7%를 넘으면 '고령화사회(aging society)', 14%를 넘으면 '고령사회(aged society)', 20%를 넘어서면 '초고령사회(super-aged society)'로 분류한다. 한국은 지난 2000년 고령화사회에 들어선 데 이어 2018년쯤 고령사회, 또 2026년쯤에는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고령화사회에 돌입한 지 불과 26년 만에 초고령사회에 들어서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2000년 65세 이상 인구비율이 7.1%로 고령화사회에 접어들었고, 2006년 9.5%로 빠르게 고령사회로 나아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이 같은 추세라면 2026년 20.8%로 초고령 사회로 접어들어 고령화 속도가 세계에서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
한국뇌과학연구원 개요
유엔경제사회이사회로부터 UN협의지위를 부여받은 유엔자문기구 한국뇌과학연구원(KIBS)은 인간 뇌의 기능과 작용 원리에 관한 중점연구와 더불어 뇌의 실제적 활용방법으로서 뇌교육의 연구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국내 대표적인 인지신경과학 전문연구기관이다. 특히, 뇌인지 분야에서 인간 뇌기능에 관한 다양한 기전연구와 더불어 인간 뇌의 고등인지기능에 관한 차별화된 연구를 바탕으로 국내외적인 연구성과를 인정받고 있다. 2007년, 이러한 뇌과학 연구를 바탕으로 한 뇌교육 연구개발기관으로서 그간 진행해온 대외적 성과를 인정받아, 유엔경제사회이사회로부터 유엔(UN)자문기구로 지정받아 그 국제적 위상이 더욱 높아졌다. 두뇌올림피아드 IHSPO 창설, 뇌전문지 브레인 발간, 뇌전문사이트 브레인미디어 등 뇌대중화 선도기관으로도 유명하다.
웹사이트: http://www.kibs.re.kr
연락처
한국뇌과학연구원 대외협력팀 02-556-20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