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4개월 연속 220억불 상회(1월 확정치)
수출은 환율 하락 등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승용차, 반도체 등의 수출 증가로 4개월 연속 220억 불대를 상회하였다. 품목별로는 승용차(74.5%), 화공품(46.9%), 철강 및 금속제품(46.8%), 석유제품(41.5%)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고 기계류·정밀기기(33.2%), 반도체(28.8%), 정보통신기기(4.9%)도 증가세 유지하였다. 다만, 선박(-25.9%), 의류(-8.5%) 등은 감소되었다. 지역별로는 주요 수출상대국인 EU(36.3%), 중국(35.0%), 미국(31.7%)으로의 수출증가율이 30%를 상회하며 전체 수출 증가세 주도하였다.
수입은 원유, 철강재 등 원자재 및 자본재 수입 증가로 지난해에 이어 수입증가율(19.1%)이 수출증가율(18.2%)을 추월하였다. 품목별로는 철강재(52.0%), 기계류·정밀기기(45.7%), 광물(40.2%)의 수입 증가율이 40%를 상회하였으며, 화공품(28.3%), 원유(24.3%), 비철금속(17.4%), 반도체(11.6%)도 증가세 유지하였다. 지역별로는 중국(47.5%) 및 미국(34.8%)으로부터의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다.
무역수지는 수출의 견조한 증가세에 힘입어 ‘98.12월(38억불)이후 월간 무역흑자로는 최대치를 기록하였으며 22개월 연속 흑자 기조 유지하였다.
1. 수출 동향
ㅇ `05. 1월 수출은 전년 동월대비 18.2% 증가한 224억불을 기록
ㅇ 성질별로는 경공업품(△7.5%)을 제외한 중화학공업품(20.7%), 원료및연료(38.7%), 식료및직접소비재(20.1%) 모두 증가
- 중화학공업품은 승용차(74.5%), 화공품(46.9%), 철강및금속제품(46.8%), 기계류정밀기기(33.2%), 반도체(28.8%)가 증가세를 유지
- 원료및연료는 석유제품(41.5%)이 크게 증가
- 다만 경공업품은 금(-96.3%) 수출이 크게 감소
ㅇ 경제권역별로는 對선진국 수출(30.9%)이 對개도국(10.4%)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
□ 1월 수출은 환율 하락 및 고유가 지속 등 불리한 여건하에서도 승용차, 반도체 등이 수출 증가세를 이어가며 4개월 연속 220억불대를 상회
(단위:백만불,%)
구분‘04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05년1월
금액18,987/19,137/21,175/21,483/20,834/21,657/21,004/19,799/20,831/22,663/23,077/23,197/22,440
증감률
32.6/43.5/37.7/36.7/42.0/38.3/36.1/28.8/22.4/19.7/26.5/17.6/18.2
□ 품목별로는 승용차(74.5%), 화공품(46.9%), 철강및금속제품(46.8%), 석유제품(41.5%), 기계류·정밀기기(33.2%), 반도체(28.8%)의 수출이 크게 증가
- 무선통신기기(17.4%), 직물(8.5%), 가전제품(1.8%) 등도 증가세를 유지
- 다만, 선박(-25.9%), 컴퓨터 및 주변기기(-78.9%)의 수출은 감소
《 ‘05.1월 주요 품목별 수출 증감률 》
승용차 화공품 철강및금속제품 석유제품 기계류·정밀기기
74.5% 46.9% 46.8% 41.5% 33.2%
반도체 무선통신기기 직물 가전제품 선박 컴퓨터·주변기기
28.8% 17.4% 8.5% 1.8% -25.9% -78.9%
※ 증감률은 전년 동월대비 수치임(이하 같음)
ㅇ 월별로는 반도체 수출금액이 지속적인 증가세 유지
- 반도체 수출은 전월보다 3억불 증가하였고, 무선통신기기도 전월보다 2억불 증가
《 주요 수출품목 월별 수출금액(억불) 》
· 반도체 : (’04.10월) 24 → (11월) 24 → (12월) 21 → (‘05.1월) 24
· 무선통신기기 : (’04.10월) 21 → (11월) 23 → (12월) 16 → (‘05.1월) 18
· 승용차 : (’04.10월) 23 → (11월) 26 → (12월) 28 → (‘05.1월) 24
· 기계류 등 : (’04.10월) 20 → (11월) 20 → (12월) 22 → (‘05.1월) 20
□ 경제권역별로는 미국, EU로의 수출 호조로 對선진국 수출이 상대적 증가
· 증감률 --- 대선진국--- 대개도국
`05. 1월 --- 30.9% --- 10.4%
ㅇ 지역별로는 최대 수출상대국인 중국으로의 수출이 크게 증가하였고, 미국, EU로의 수출도 호조를 보인 반면, 동남아로의 수출은 2개월 연속 감소
· 증감률 --- 중국--- 미국--- EU --- 일본--- 중남미 --- 동남아
`05. 1월 --- 35.0% --- 31.7% --- 36.3% --- 20.5% --- 22.0% ---( -3.7%)
- 對중국 수출 증감률 : (‘04.11월) 29.6% → (12월) 16.0% → (’05.1월) 35.0%
- 對미국 수출 증감률 : (‘04.11월) 18.5% → (12월) 9.6% → ('05.1월) 31.7%
- 對EU 수출 증감률 : (‘04.11월) 53.6% → (12월) 37.1% → ('05.1월) 36.3%
- 對동남아 수출 증감률 : (‘04.11월) 6.0% → (12월) -5.9% → ('05.1월) -3.7%
2. 수입동향
ㅇ `05. 1월 수입은 전년동월 대비 19.1% 증가한 193억불을 기록
ㅇ 용도별로는 원자재(21.6%) 및 자본재(24.7%)는 증가세를 이어간 반면 소비재(-5.6%)는 감소
ㅇ 지역별로는 對개도국(20.8%) 및 對선진국(17.4%) 모두 증가
□ 1월 수입은 원자재 및 자본재 수입 증가로 인하여 지난해 8월 이후 6개월 연속 수출증가율을 추월
(단위:백만불,%)
구분‘04년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05년1월
금액16,209=17,469=19,120=18,830=17,895=18,544=18,390=18,124=18,193=20,408=20,312=20,967=19,304
증감률11.8=26.1=20.5=27.6=32.3=38.1=23.4=33.8=25.2=23.4=28.9=19.0=19.1
□ 자본재 수입은 지난해 8월(32.2%)이후 5개월만에 20%대를 상회하는 높은 증가세를 보였으며, 소비재는 4개월 연속 감소
【 용도별 수입 현황 】
(단위:백만불,%)
구 분‘04. 10월‘04. 11월‘04. 12월‘05. 1월
금액증감률금액증감률금액증감률금액증감률
원자재10,49938.511,11149.311,44639.79,88221.6
자본재7,64415.67,10215.87,3297.07,38224.7
소비재2,266-3.32,099-4.12,192-15.02,040-5.6
합 계20,40823.420,31228.920,96719.019,30419.1
ㅇ 원자재 수입은 고유가 및 국제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21.6% 증가
- 원유는 전년동월대비 도입물량(5.2%, 3백만배럴 증가)이 소폭 증가한 반면, 도입단가 (18.2%, 5.7불/배럴 상승) 상승세는 지속되어, 수입금액(24.3%, 450백만불 증가)은 상대적으로 크게 증가
- 또한, 철강재(52.0%, 472백만불 증가) 및 광물(40.2%, 199백만불 증가) 수입이 크게 증가하였고, 화공품(28.3%), 비철금속(17.4%), 석탄(12.2%) 등도 증가세 유지
ㅇ 자본재 수입은 기계류·정밀기기 수입이 크게 증가하여 24.7% 증가
· 증감률 --- 기계류·정밀기기 --- 반도체
`05. 1월 --- 45.7%(837백만불 증가)--- 11.6%(208백만불 증가)
ㅇ 소비재 수입은 전월에 이어 4개월 연속 감소세를 보이며 5.6% 감소
· 증감률 --- 곡물 --- 가전제품--- 금 --- 승용차 --- 골프용품
`05. 1월--- -5.3% --- 23.0% --- -81.7% --- 1.1% --- 37.4%
□ 지역별로는 對중국 수입 및 대미국 수입이 크게 증가하며, 전체 수입 증가를 주도
· 증감률 --- 미 국 --- E U --- 일 본 --- 호주
`05. 1월 --- 34.8% --- 16.6% --- 11.3% --- 0.1%
중 국 --- 중동 --- 동남아 --- 중남미
47.5% --- 27.5% --- 4.6% --- 7.1%
※ 對중국 수입 증감률 : (‘04.11월) 47.4% → (12월) 32.5% → (’05.1월) 47.5%
※ 對미국 수입 증감률 : (‘04.11월) 14.1% → (12월) 18.8% → (’05.1월) 34.8%
3. 무역수지 동향
□ 1월 무역수지는 수출의 지속적인 증가에 힘입어 1월중 무역흑자로는 사상 최대규모인 31억불을 기록하였으며, ‘03.3월이후 20개월 연속 흑자 유지
·무역수지 ‘04.9월 10월 11월 12월 ’05.1월
(백만불) 2,638 → 2,255 → 2,765 → 2,230 → 3,137
ㅇ 對선진국 무역수지는 큰폭으로 개선된 반면, 개도국은 흑자규모 감소
- 대선진국 :29백만불적자(전년동월대비 825백만불 개선)- 대개도국 :3,166백만불흑자(전년동월대비 467백만불 악화)
ㅇ 주요지역별 무역수지
- 미 국 :894백만불흑자(전년동월대비 171백만불 확대)
- 일 본 :1,792백만불 적자( ″ 53 ″ 악화)
- E U : 1,637백만불흑자( ″ 711 ″ 확대)
- 중 국 :1,447백만불흑자( ″ 185 ″ 확대)
- 동남아 :1,274백만불흑자( ″ 274 ″ 악화)
- 중 동 :1,898백만불적자( ” 421 “ 악화)
- 중남미 :401백만불흑자( ″ 133 ″ 확대)
ㅇ 특히, 對EU 흑자는 전년동월대비 7억불 이상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증가세를 나타낸 반면, 對일본 적자는 소폭 악화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공보담당관실 (042)481-7615~8통관기획과민희 사무관 (042)481-7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