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문화재 안전대책 대폭 강화한다
서울시는 지난 2.11일 숭례문 화재사건을 계기로, 재난 및 안전관련 법정시설물과 문화재보호법, 소방관련법, 건축법 등 개별법령상 관리시설물 35,280개 모두에 대해 관계전문가와 함께 합동으로 안전점검을 진행 중에 있다.
우선 금년 중 224억원을 우선 투입하고 내년에 148억원 등 372억원을 도시시설물 안전종합대책에 투입키로 했으며, 이를 위한 필요예산은 금년도 기정 및 추경예산으로 180억원, 예비비와 재난관리기금으로 45억원을 활용하고 내년도 예산으로 148억원을 추가하여 확보할 계획이다.
서울시가 마련한 시설물 안전종합대책을 자세하게 뜯어보면,
① 문화재 안전대책이 두드러진다.
지난 3월까지 흥인지문, 서울문묘, 서울동묘, 경희궁지 등 중요문화재 19개소에 근무 인력 75명을 늘려서(55→130명) 24시간 내내 상주근무토록 하고 야간 등 취약시간대에는 현장 순찰횟수를 대폭(1회→5회까지) 확대하였다.
그리고 CCTV(31대 → 90대), 첨단화재감지기(24개 → 84개), 무인경비시스템(24개소 → 60개소), 자동경보시스템(1개소 → 89개소)을 확충하고, 문화재청과 협의하여 방화에 대비하기 위한 천장부 투명 방화유리막 및 화재연소방지 수막설비의 구축 방안도 마련 중에 있다.
또한, 문화재관리에 명확한 책임감을 가지도록 누가, 언제, 어떻게 순찰과 점검을 수행하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컴퓨터 순찰관리시스템 설비도 추진한다.
② 화재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 소방대응시스템도 크게 개선될 전망이다
문화재, 지하상가 등 중요시설은 화재나 외부침입이 발생할 경우 서울종합방재센터에 상황이 직접 감지되어 즉시 대응할 수 있는 자동경보 시스템과 순차적 전파체계에서 유관기관 동시 전송이 가능한 자동 전파시스템도 금년 중 구축을 완료할 계획이다.
특수화재 진압을 위한 다굴절 파괴 방수차, 무인 방수탑 차량 등의 첨단장비도입도 검토하고 있다.
아울러, 교량·고가차도·문화재 등 주요 공공시설물 67개소와 백화점·터미널 등 83개소 민간시설물에 대해서는 금년 7월말까지 설계도면, 위치도 등 재난대비 필요자료를 현장~시설물관리부서~관할소방서 3중으로 비치하여 화재 등 재난사고에 즉각 대응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그리고, 재난 현장에서의 지휘체계 일원화로 신속한 의사결정과 대응을 할 수 있도록 서울종합방재센터~재난현장~대응인력(소방·유관기관)간 일원화된 통신체계도 구축하기로 하였다.
③ 트러스 및 사장교 등 특수 한강교량은 취약부문 점검을 위한 맞춤형 점검 동선지도를 작성하였고, 관·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정기적으로 합동점검에 나서는 등 관리기법을 예전보다 한 차원 높였다는 평가다.
교량에 대한 안전점검시 균열디지털측정기, 원거리 측정 스케너, 로봇팔 카메라 등 정밀진단 첨단장비와 계측관리 프로그램을 금년 상반기중 도입하여 과학적 관리체계를 갖출 계획이다.
또한, 한강교량 우물통 순환점검 주기를 5년→3년으로 단축하여 매년 200기→350기로 점검을 대폭 확대하기로 하였다.
④ 전기·통신시설 등 국가기반시설인 공동구와 집단에너지 공급시설도 24시간 상시 감시체제 구축 등 안전관리대책을 크게 보완할 계획이다.
목동, 여의도, 가락, 개포, 상계, 상암 등 6개 공동구에는 화재탐지를 위한 열감지선 반응속도 보완책으로 연기 감지기와 CCTV 26대를 추가 설치한다.
시설물 관리직원의 세심한 근무요령을 담은 위기대응 현장매뉴얼도 작성하여 관할소방서~관리기관 등이 상호 공유하여 위기시에 신속한 대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자원회수시설은 화재예방차원에서 모두 금연구역을 설정하고, 외곽·내부감시를 위한 CCTV를 대폭 확대설치 하였으며 주관로 등 노후 열수송관도 조기에 보수할 계획이다.
⑤ 오는 6월30까지 점검완료 예정으로 현장점검을 진행하고 있는 복지 및 다중이용 시설의 경우도 노인·장애인·아동 등의 복지시설은 다양한 재난사고에 쉽게 대처할 수 있는 현장대응 매뉴얼을 마련하고 있으며, 시설안전관리, 소방안전, 구조구급 등 교육을 받은 인근거주 공무원 또는 자원봉사자를 활용한『1복지시설 1안전 도우미제』를 적극 검토 추진할 계획이다.
백화점과 대형 판매점 등의 다중이용시설 대피통로에 물건적치 등 매년 반복 지적되는 사례는 강력한 단속 등으로 금번에는 발본한다.
서울시는 6월말까지 일반시설물에 대한 현장점검이 모두 완료되면 관리실태 전반에 대한 문제점 등을 정밀 분석하여 시설물별 특성에 맞는 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
아울러, 앞으로 실·국·본부장이 직접 시설물 현장 관리실태 전반을 체크하고, 실무담당 공무원도 일상화된 긴장감과 책임감으로 한차원 높아진 시설물 안전관리 시스템을 정착시켜 나간다는 것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행정국 방재기획과 전수호 2171-22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