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보투자신탁운용, 시황에 따라 브릭스 국가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는 ‘교보 파워 전환형 펀드’ 출시

서울--(뉴스와이어)--교보투자신탁운용은 최근 변동성이 커진 브릭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국가에 좀더 효율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교보 파워 전환형 투자신탁』을 4월 29일부터 교보생명, 교보증권 및 하나은행을 통하여 판매한다고 밝혔다.

향후 10년간 가장 유망한 투자처로 지목되고 있는 브릭스 각국이 최근에는 각기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다. 중국과 인도는 세계 금융시장의 조정과 동일하게 큰 폭의 조정을 보였던 반면, 브라질과 러시아는 원자재 시장의 호조로 세계 금융시장의 큰 변동성과는 다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그 이유는 브릭스 각국이 가진 경제적 장점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세계 경제환경의 변화가 브릭스 각국에 미치는 영향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교보 파워 전환형 투자신탁』은 이러한 브릭스 각국의 경제상황과 세계 경제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각국에 투자할 수 있는 개별 국가 펀드와 브릭스 국가에 모두 투자할 수 있는 브릭스 펀드, 그리고 주식시장의 급격한 변동성을 피할 수 있는 국내 채권형 펀드에 자유롭게 투자할 수 있는 엄브렐러 펀드주)로 설계되었다. 고객의 판단에 따라 별도의 수수료 없이 1년에 12번에 한하여 6개 펀드를 자유로이 교체하며 투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위 펀드간 자유로운 전환이 가능한 엄브렐러 펀드

현재 펀드시장에 나와있는 브릭스 국가에 투자하는 펀드는 브릭스 각국에 분산 투자하여 위험을 줄이는 장점이 있지만, 최근의 급격한 글로벌 주식시장의 변동에는 적극적으로 대처하기 힘든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중국과 인도 증시의 큰 폭 조정에도 불구하고 투자자는 자산운용사의 판단에 따라 이들 국가에 일정부분 투자비율을 유지해야만 하고, 브라질과 러시아에 대해서도 투자자의 판단에 따라 투자비율을 조정할 수도 없었다.

하지만 엄브렐러 펀드인 『교보 파워 전환형 투자신탁』을 이용할 경우 투자자의 판단에 따라 브릭스 각국의 시장상황에 맞는 투자가 가능하다.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각국에 투자하는 각각의 펀드에 투자자가 원하는 비율만큼 분산하여 투자할 수 있고, 이들 국가의 전체적인 시황이 안 좋다고 판단이 될 경우에는 투자금을 모두 국내 채권형 펀드로 전환하여 주식의 변동성을 피할 수도 있다. 또한, 펀드에 처음 투자하는 투자자는 본인의 판단에 따라 브릭스 각국에 대한 투자비율을 조정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브릭스 국가 전체에 분산투자 하는 브릭스 펀드도 엄브렐러 펀드의 하위펀드로 구성되어 있다.

교보투자신탁운용 상품전략팀 박정환 팀장은 “최근펀드 투자가 활성화 되면서 자신의 판단에 따라 적극적으로 투자 포트폴리오를 조정하고자 하는 고객이 늘어가고 있다”고 하면서, “이러한 고객들을 위하여 브릭스 각국에 투자하는 4개의 펀드와 브릭스 전체에 분산하여 투자하는 브릭스 펀드 그리고 국내 채권형 펀드를 엄브렐러 펀드의 하위펀드로 구성하여, 이들 하위펀드 간에 연간 12회에 한하여 자유롭게 전환이 가능한 『교보 파워 전환형 투자신탁』을 출시하게 되었다”고 하였다.

MSCI Index 구성종목에 투자

『교보 파워 전환형 투자신탁』의 하위펀드인 브라질, 러시아,인도, 중국 및 브릭스 펀드는 MSCI(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Barra사와의 계약을 통하여 MSCI 브라질 인덱스, MSCI 러시아 인덱스, MSCI 인도 인덱스, MSCI 중국 인덱스를 구성하는 종목에 투자를 한다. 이를 통하여 브릭스 각국의 시장수익률과 비슷한 수익을 얻는 것을 목표로 운용된다. 또한, MSCI 브릭스 각국의 인덱스 구성이 변경될 때에만 매매하는 등 포트폴리오 교체에 따른 비용을 최소화하고, 해외운용사에 위탁운용을 하는 것이 아니라 교보투자신탁운용이 자체적으로 운용하므로 운용보수를 절감(50BP)하여 고객의 실제 수익률 향상을 도모했다.

『교보 파워 전환형 투자신탁』은 하위펀드는 고객별 니즈(Needs)에 맞게 다양한 클래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환은 동일한 클래스간에 가능하다. 환매수수료 부과기간은 60일로 비교적 짧은 편이지만, 최초로 투자한 하위펀드에서 다른 펀드로의 전환은 60일 전에는 할 수 없다. 환매수수료 부과기간인60일 이후에는 연간 12회에 한하여 하위펀드간의 전환이 별도의 수수료없이 가능하다.

주) 엄브렐러펀드 [Umbrella Fund]

: 성격이 다른 여러 개의 하위펀드들 사이에 전환이 자유로운 펀드를 일컫는다. 우산살처럼 하나의 펀드 아래 성격이 서로 다른 여러 개의 하위펀드(Sub-Fund)가 구성되어 있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었다. 하위펀드 사이의 교환이 자유로워 마치 카멜레온이 몸 색깔을 바꾸는 것과 비슷하다 하여 '카멜레온형 펀드'라고도 한다. 여러 개의 하위펀드를 구성해 시장 상황이나 테마에 따라 투자가 가능하고, 투자자가 직접 전환 또는 투자할 펀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장점이다.

웹사이트: http://www.kyoboitm.co.kr

연락처

교보투신 상품전략팀 정보라 부장 767-966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