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 황창규사장, 미국 하버드대 특강
황사장의 이번 하버드 경영대학원 특강은, 삼성의 반도체사업 성공사례가 하버드대학의 정규과목 내용으로 채택되며 이뤄졌고, 이를 통해 "한국의 반도체 신화가" 세계적인 "경영 성공사례"로 인정받게 되었다.
이번 하버드대에서의 강연에는 경영대학원생, 공과대생, 연구원, 교수, IT 업계 관계자, 在美 과학자 등 청중 1,000여명이 몰려, 세계 IT업계의 '巨人'으로 떠오른 삼성전자에 대한 관심을 실감케 했다.
황사장은 2002년 英 케임브리지大, 2003년 美 스탠포드大에 이어, 지난해 4월에는 MIT大와 메사추세츠 주립大 등 세계 최고수준의 대학에서 강연했으며, 이를 통해 세계의 핵심 인재들과 삼성 반도체 사업의 비전을 공유하고 우수인력 유치의 기반으로 활용하고 있다.
황사장은 강연에서 삼성전자 반도체사업의 성공요인으로 △ 최고 경영자의 강력한 리더십 △ 인재 중시의 전통이라고 설명하고, △ 신제품 조기개발로 수익을 극대화시키는 제품 차별화 전략 △ 신기술 창조 △ 리스크 테이킹(Risk Taking)을 통한 적기투자 등을 지속성장을 위한 견인 요인으로 꼽았다.
특히, 인재를 최우선하는 이건희 회장의 리더십과 반도체 불모지에 사재를 출연하면서까지 반도체사업을 출발시키고 위기의 순간을 시장도약의 계기로 만든 정확한 의사결정이 반도체 사업성공의 핵심이 되었다는 분석과 함께 세계유수의 기업들과 벌이는 치열한 경쟁과 협력의 사례들을 소개해 참석자들의 탄성과 환호를 자아내기도 했다.
황사장은 또한 스페셜(Special) 강연에서 '미래 IT시대의 반도체 역할'에 대해 발표하며, "지난 20여 년간 IT시장을 이끌어 오던 PC의 성장이 최근 둔화되는 반면 모바일과 디지털가전을 주축으로 하는 새로운 성장이 이미 본격화되었다"고 선언했다.
특히, "디지털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고용량 메모리 반도체, 모바일 CPU와 이미지 센서(CIS) 등의 모바일 반도체, 그리고 다양한 기능반도체가 하나로 통합된 다중칩(MCP;Multi Chip Package)과 시스템 인 패키지(SIP;System In Package)제품, 메모리와 로직이 하나로 결합하여 기존 메모리의 성능 한계를 극복한 퓨전메모리 등 차세대 반도체 수요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황사장은 이미 2002년, 올해(2005년)를 기점으로 모바일과 디지털 가전 제품의 폭발적 성장을 예측한 바 있으며, 현재 나타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MP3 플레이어·게임기·3세대 휴대폰에서 메모리 시장의 놀라운 성장은 이러한 황사장의 예측을 정확하게 입증하고 있다.
또한, IT시장의 3대 트랜드로 △ 그림·동영상 등 디지털 컨텐츠의 용량이 세대마다 100배씩 커지고 △ 테입과 CD가 플래시메모리로 대체되는 저장매체의 혁명 △ 모바일기기로의 IT제품 융복합화 가속 등을 제시하며, 반도체가 미래 IT를 이끌어 갈 핵심이라는 것을 강조했다.
황사장은 올해 세계 메모리 시장이 지난해 대비 완만한 시장성장이 전망되지만, 삼성은 모바일과 디지털 가전 시장에서 플래시메모리 수요 강세와 지속적인 준비를 통해 창출해낸 MCP, 퓨전메모리 등 신규시장의 확대로 세계 시장성장률 대비 월등한 성장을 지속할 것으로 전망했다.
황사장은 지난 2002년 2월 국제반도체회로학술회의(ISSCC) 총회 기조연설에서 반도체의 집적도가 매년 2배씩 증가한다는 '메모리 신성장론'을 발표하였으며, 이 이론은 2003년 11월, 세계최고 권위의 전문학술단체이자 전 세계적으로 40만명이 넘는 전기전자분야 전문가들이 회원으로 활동하고 있는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의 최고 학술지인 "Proceedings of the IEEE"에 논문으로 게재되는 등 세계반도체산업의 트렌드를 새롭게 규정하고 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지난 1999년 256Mb 낸드플래시 개발을 필두로, 지난해 8Gb 낸드플래시 개발까지 5년 연속 집적도 2배 증가를 입증해, '메모리 신성장론'은 업계와 학계에서 정설로 인정받고 있다.
이번 특강에서 황사장은 △ 각종 세계반도체학회에서 최고의 논문으로 평가된 3차원 소자기술의 개발과 양산적용 △ 지난해 세계최초로 개발한 60나노 8Gb 낸드플래시·80나노 2Gb DDR2 D램 등 최첨단 나노 반도체 제품 △ 8칩 적층 MCP와 P램·F램 등 차세대 신물질 반도체 △ 퓨전(Fusion) 메모리△ 667MHz 모바일 프로세서 △ LCD·OLED용 디스플레이 구동칩(DDI) 등을 소개하며 삼성전자의 우수한 기술력을 알렸다.
삼성전자의 비전에 대해 황사장은 △ 플래시 메모리와 차별화 제품을 근간으로 하는 메모리시장에서의 기술우위 △ 업계유일의 모바일 반도체 분야 토털 솔루션 제공 △ '디지털 유목민' 정신으로 지속적인 신시장 개척 △ 메모리와 System LSI 사업의 시너지를 통한 동반 성장으로 최고의 반도체 업체 도약 등의 방향을 제시했다.
한편, 황사장은 하버드大 경영대학원 킴 클럭(Kim Clark) 학장과 간담회를 갖고 인재육성과 IT산업의 트렌드에 대해 논의했다.
황창규사장은 4일(현지시각)에는 MIT大, 스텐포드大와 함께 미국의 3大 공과대학으로 인정받고 있는 UC버클리大(University of California at Berkely)에서도 강연할 예정이며, 이를 통해 해외에 "반도체 한국" 위상 증진 및 삼성 글로벌 인재 채용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구축해 나갈 계획이다.
삼성전자 개요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문, LCD 부분, 반도체 부문, 통신 네트워크 부문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인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디지털 TV, 메모리 반도체, OLED, TFT-LCD 분야에서 세계 선두 주자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
연락처
채희국 대리 727-7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