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 전국 지자체에 취약 시설 안전점검 실시 권고
지난 5년간의 통계에 의하면, 감전사고는 장마가 시작되는 6월부터 점차 증가하여 7~8월에 가장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감전으로 인한 사망은 장마가 시작되는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동안 전체 사망의 66.3%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감전사고 원인별로는 전기공사시 부주의가 36%로 가장 많고, 직업별로는 전기 기술자에 의한 사고가 34%를 차지하고 있어, 안전에 대한 의식 소홀이 사고로 이어졌다.
장소별로는 공장/작업장(28%), 공사장(11%)은 물론 주택/아파트(22%), 학교·의료기관(4.5%) 등에서 상당수 발생하고, 우기에는 전기 누전으로 야외·공공장소에서도 심심치 않게 발생하고 있어, 장소를 불문하고 주택·사무실·빌딩·공장 등 누전 우려가 있는 곳이라면 본격적인 우기가 시작되기 전에 전기안전공사에 의뢰하여 안전점검을 받아 보는 것도 예방대책의 한 방법이다.
한편 지방자치단체는 지식경제부(전기안전공사)와 합동으로 누전차단기·접지시설 불량 등 부적합설비에 대해서는 7월 말까지 개·보수를 완료할 예정이다.
안전행정부 개요
전자정부 운영, 민생치안, 재해 재난 관리, 건전한 지방자치제도 개선 및 지방재정 확립, 선거 국민투표, 공무원의 인사 및 복지, 행정조직의 관리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내무부에서 행정자치부, 행정안전부, 안전행정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정부청사관리소, 국가기록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지방행정연수원, 이북5도위원회, 경찰위원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spa.go.kr
연락처
행정안전부 재난대책과 서기관 고건일 02-2100-31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