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새로운 고소득작목 오디(멀베리)산업 육성 지원
오디(mulberry)산업 육성을 위하여 소득원이 적은 산간오지 청정지역을 중심으로 집단 재배단지를 조성하고 주 5일제 확대 대비 농촌웰빙 체험장에서 오디따기 체험을 하고 있다.
오디 산업화를 위한 산·학 협력체계 구축, 신제품 개발을 서두르고 있으며, 고기능성 오디전용 우량품종 조기 보급으로 농가소득을 증대 시킬 계획이다.
현재까지 추진상황은 2005년도부터 기존의 양존농가에게 오디전용 뽕품종을 보급하여 양잠과 오디생산을 복합영농으로 추진하여 왔으며, 2006 ~ 2008년까지 오디산업 육성을 위한 국·도비 1,520백만원(국비50, 도비 217, 시군비 811, 자부담442)을 지원하여 오디재배 단지 81ha를(참여농가 139호)조성, 64톤의 오디를 생산하여 14억원의 소득을 올렸지만, 새로조성된 오디가 정상적으로 수확이 시작되는 2009년도부터는 40억원이상의 소득이 예상되며, 2010년에 100억원 소득을 올릴 목표를 하고 있다.
도내 기존의 관련 학교 및 가공업체와 협력체계 구축하여 신제품을 개발하고 현재 일부 제품은 시판중에 있다.
향후 추진계획은 2009 ~ 2010년까지 오디산업 기반조성 확대를 위하여 도자체사업인 양잠산업육성지원사업과 새소득작목육성사업으로 35억원을 투자하여 오디재배단지 7개소를 더 확대하여 총 오디뽕 재배면적을 150ha로 조성하여 100억정도의 농가소득을 올릴 목표를 세워 사업추진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추진성과는 오디뽕은 타작목에 비해 척박한 토지에도 잘 자라고 재배기술이 어렵지 않아 산간오지 새로운 소득원으로 육성하여 왔으며, 농산물 수입개방을 대비, 과수분야 폐원농가의 대체작목으로 육성하여 왔으며, 단위당 소득도 비교적 높아 소득원 낮은 산간오지의 소득작목으로 개발이 매우 유리하고 오디에는 항암, 피부탄력 증진물질인 "레스베라트롤“ 함량이 높고, 영양소와 다양한 기능성 성분이 많아 대체의약품개발 원료로 적합하여 농가 소득증대에 크게 기여하고 있음.
· 오디는 100g당 레스베라트롤이 평균 78㎎함유되어 있음
- 포도의 156배, 땅콩의 780배인 것으로 구명됨(농진청)
경상북도는 오디산업 육성을 위하여 오디의 생산·가공·판로를 삼위일체시켜 안정적인 소득을 보장할 수 있도록 생산규모의 적정화, 첨단가공시설 확충, 대량수요처 개발 등에 집중 지원하여 FTA 등 농업개방을 대비한 새로운 고소득작목으로 육성, 지역의 명품 및 관광 상품으로 개발하여 농가의 소득증대에 기여해 나아 갈 계획이다.
경상북도청 개요
경상북도청은 272만 도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06년 7월부터 시민의 선거를 통해 당선된 김관용 도시자가 도정을 이끌고 있다. 도청이전 신도시 명품화 프로젝트, 한반도 역사·문화산업 네트워크 구축, 동해안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 FTA대응 농어업 경쟁력 강화, 백두대간·낙동정맥 힐링벨트 조성, IT 융복합 신산업벨트 조성, 초광역 SOC 도로·철도망 구축, 동해안 첨단과학 그린에너지 거점 조성, UN과 함께하는 새마을운동 세계화, 민족의 섬 울릉도·독도를 2014년 10대 전략 프로젝트로 삼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yeongbuk.go.kr
연락처
경상북도청 친환경농업과 담당자 손상길 053-950-227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