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6월 수출입 및 무역수지 동향
Ⅰ. 2008년 6월 수출 동향 분석
`08년 6월 수출은 석유제품, 중화학공업품 등 주요 수출품목의 수출호조로 9개월 연속 두 자릿수 증가하며, 전년 동기대비 16.6% 증가한 373억 달러를 기록
성질별로는 원료 및 연료가 가장 높은 수출증가율(96.5%)을 기록한 가운데 중화학공업품(11.1%), 식료 및 직접소비재(7.8%), 경공업품(2.5%)이 그 뒤를 이었음
- 원료 및 연료는 석유제품 단가상승에 힘입어 전체적으로 가장 높은 증가율(96.5%)을 기록 → 수출금액기준 전체수출대비 10.7%
- 식료ㆍ직접소비재는 음료ㆍ주류(12.8%) 및 어패류와조제품(6.6%) 등이 증가세를 주도
- 중화학공업품은 선박(△22.2%), 승용차(△2.6%)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화공품(30.1%) 및 철강제품(28.1%)에 힘입어 11.1%의 증가율을 기록
경제권역별로는 개도국(26.3%)수출은 큰 폭의 증가세 보이고 있으나, 선진국 수출은 소폭 감소(△1.2%)하였음.
품목별로는 단가 상승 및 수요증가에 따른 석유제품의 수출이 크게 증가(119.4%)한 가운데, 화공품 및 철강제품이 30%내외의 높은 증가율을 보인 반면, 선박(△22.2%) 및 승용차(△2.6%)는 감소
경제권역별로는 개도국의 경우 싱가폴, 중남미로의 수출 증가율이 각각 60%, 50%를 상회한 가운데 중국, 동남아로의 수출도 각각 30% 내외 기록
선진국의 경우에는 일본, 캐나다로의 수출이 두 자릿수 이상 증가하였으나, EU로의 수출이 감소하며 전체적으로 전년동기대비 소폭 하락
- ’08년 6월 수출증가율(16.6%) : 對개도국 26.3%, 對선진국 △1.2%
국가별(지역별)로는 對중국 및 동남아 수출이 3개월 연속 20%를 상회하였고, 미국으로 수출이 전월에 비해 증가세로 돌아섰으나, EU로의 수출은 감소세로 반전
Ⅱ. 2008년 6월 수입동향 분석
`08년 6월 수입은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원유 등 연료(71.9%)와 철강재(57.1%), 광물(22.7%)등의 원자재 수입증가로 전년 동기대비 32.4% 증가한 235억 달러를 기록
용도별로는 원자재가 45.0%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가운데 소비재, 자본재는 각각 26.9%, 12.5%의 증가율을 기록
경제권역별로는 중동, 중국 등으로부터의 수입증가로 개도국(41.9%)이 선진국(19.6%)보다 약2배 이상의 높은 증가율을 기록
용도별로는 원유 등이 포함된 원자재가 높은 증가율을 기록한 가운데 소비재, 자본재가 그 뒤를 이었음
원자재는 원유(70.5%), 석탄(159.1%), 가스(77.1%) 등 연료(71.9%) 및 광물(22.7%), 철강재(57.1%)의 수입 증가로 전체적으로 45.0%의 가장 높은 증가율을 기록
원유의 경우 물량은 전년 동기대비 3.4% 감소하였으나, 국제 유가 상승으로 인하여 금액은 70.5%로 급증
* 원유도입량: '07.6 (9,467천톤) → '08.6 (9,144천톤)
자본재는 전기·전자기기, 기계류 등의 주도로 12.5% 증가
소비재는 곡물 및 가전제품 등의 증가에 힘입어 26.9% 증가
품목별로는 원유(70.5%), 곡물(63.9%), 철강재(57.1%)가 크게 증가한 반면 수송장비(△30.4%)는 감소세로 전환
국가별(지역별)로는 원유 수입금액 증가로 중동으로부터의 수입증가율이 70%를 넘은 가운데 중국으로부터의 수입증가율도 3개월 연속 30% 상회
Ⅲ. 2008년 6월 무역수지 동향 분석
무역수지는 전년 동기대비 39억 달러 감소한 △4.3억 달러를 기록, 지난달 6개월 만에 흑자 전환한 이래 다시 적자전환
對선진국 무역수지의 경우 EU, 미국을 제외한 일본, 호주, 캐나다가 적자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대비 적자규모가 24.9억 달러 악화
對개도국의 중국 및 중남미의 흑자규모 확대에 힘입어 29억 달러 흑자를 기록하였으나, 중동의 적자규모 확대에 따라, 전년 동기대비 흑자규모가 14억 달러 줄어든 수준임
對중동 적자가 전월에 이어 확대되는 추세를 보이고, 對일본 적자는 다소 둔화되었며, 對미국 무역수지가 흑자폭이 다시 확대되고 있으나, 對EU 흑자폭이 급속히 축소되는 추세
관세청 개요
관세의 부과, 감면, 징수와 수출입품의 통관 및 밀수 단속을 관장하는 기획재정부 산하의 중앙행정기관이다. 대전에 본부가 있고 전국에 6개의 지방 세관을 두고 있다. 조직은 통관지원국, 심사정책국, 조사감시국, 정보협력국, 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통관지도국은 수출입물품 통관과 휴대품 검사를 관리한다. 심사정책국은 수입물품에 대한 조세 관리 및 관세율 적용을 담당한다. 조사감시국은 밀수품의 반입, 공항과 항만을 감시한다. 정보협력국은 국제 관세기구와의 협력 업무 등을 관장한다.
웹사이트: http://www.customs.go.kr
연락처
관세청 통관기획과 김현정사무관 042)481-78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