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 건물 신축 시 ‘아리수 직결음수대’ 설치 의무화 추진
이를 위해 서울시는 아리수 직결음수대 설치를 위한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 및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개정』을 국토해양부에 건의한 상태다.
시는 개정 전에도 서울시 공공건축물은 설계 시 아리수 직결음수대 설치를 반영하고 서울시 신청사부터 설치할 예정이며, 공동주택 및 일반건축물 건축허가 협의 시 복도 등 공용부분에 아리수 직결음수대를 설치를 권장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기존 일반 건축물의 다중이용시설물인 백화점, 종합병원, 도서관, 버스터미널 등 시민 이용이 많은 기존 건물에 대해서도 아리수 직결음수대를 설치하도록 적극 홍보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 산하 공공청사 610개소(구청사, 구민회관, 보건소, 시립병원 등) 중 아리수 직결음수대가 설치된 283개 기관 이외에 나머지 327개 기관 청사의 민원실과 복도 등에도 직결음수대를 2009년부터 2010년까지 사업비 54억원을 투입, 설치한다.
시는 기 설치된 283개 기관 아리수 직결음수대에 대한 시민고객들의 이용 및 호응도가 매우 높음에 따라 나머지 기관을 이용하는 시민고객들도 아리수음수대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 조치라고 밝혔다.
서울시는 기존 일반 건축물의 아리수 수도꼭지가 화장실의 세면기 또는 청소용 싱크대에 설치되어 있어 수돗물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와 거부감을 유발하고 있으므로, 우선 서울시 공공청사부터 아리수 직결음수대를 민원실과 복도 등에 설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시는 6억원을 투입, 옥외 어디서나 청량한 수돗물을 마실 수 있도록 어린이대공원, 올림픽공원, 하늘공원 등 시민고객이 많이 이용하는 11개소에 냉각장치가 부착된 아리수 샘터를 올해 시범설치 후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상수도연구원 조사 결과에 따르면 수돗물을 직접 음용 할 경우, 수돗물을 끓여 마실 때보다 연간 490억원의 예산이 절감되며, CO₂배출량이 연간 3,356톤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어,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앞으로 아리수 직결음수대 설치 사업을 적극 추진해 아리수 음용률을 향상시키고 시민고객의 마음을 사로잡는 서비스를 제공해 나갈 계획이다.
한편 서울시는 자라나는 미래 세대에 수돗물이 평생을 마셔도 좋은 물이라는 인식을 확산시켜 나가기 위해 총 1,234개 초·중·고교 중 ‘94년 아연도 강관으로 부설된 630개교를 스테인레스관으로 교체하면서 아리수 직결음수대를 설치한다. 2010년까지 설치 완료계획이며 400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는 ’06~’07년 225개교에 130억원의 예산을 들여 음수대 3,200개를 설치, 큰 호응을 얻고 있으며 올해에도 여름방학 기간동안 189개교에 3,300대의 아리수 직결음수대를 설치 중에 있다.
시는 스텐레스관으로 설치된 나머지 604개교에 대해서도 직결음수대 설치를 원하는 학교가 있으면 지원해 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자라나는 미래세대에게 맛있고 안전한 수돗물 음용습관을 확대하기 위해 정수기를 철거 후 “아리수 직결음수대를 설치한 학교에는 사용한 수도요금의 20%를 감면”해 줄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 상수도사업본부 급수부 급수설비과 급수부장 유재룡 02-3146-1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