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유가 시대의 해법, 저 에너지 아파트 광주 광천 e-편한세상
우리나라에서도 유가 150달러를 넘어서면 시행하려던 1단계 고유가 위기관리대책을 유가 140달러가 넘어서는 시점으로 앞당기며 공공기관 승용차량 홀짝제를 시행하게 되었다. 여름철을 맞아 에너지 소비가 증가하는 만큼 대형 건물의 냉방 온도를 높이고, 넥타이 착용을 줄이고 반팔 셔츠 입기 운동을 벌이는 등 에너지 절약을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한정된 에너지 자원은 언제라도 고갈될 수 있어 일상생활에서부터 중장기적인 에너지 절약을 위한 대책이 필요해지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아파트 냉난방 에너지 소비량을 최소화하는 대림산업의 저 에너지 기술 개발이 화제이다. 대림산업은 이미 2005년부터 용인의 대림산업 연수원에 표준 주택 대비 에너지를 20~30% 절약할 수 있는 ‘3L 하우스’를 건설하고 친환경 저에너지 분야의 기술을 축적해 왔다. 지난 4일에는 대전 대덕연구단지 내 건축환경연구센터에서 ‘대림산업 환경·저에너지 비전 선포식’을 갖고 2012년까지 에코 3L하우스(Eco-3L House) 기술개발을 완성하여, 친환경 건축물 분야를 선도해나가겠다는 중장기 비젼을 대내외적으로 천명하였다. 에코 3L 하우스’는 연간 3L의 연료만으로 주택 단위면적 1m2의 냉난방을 처리토록하는 에너지 자립형 주택을 말한다.
대림산업의 저 에너지 기술은 이미 오산 세마, 원주 무실, 대구 수성 e-편한세상 등의 관리동 및 커뮤니티 시설에 상용화되고 있으며, 4월부터 분양한 울산 유곡과 광주 광천 e-편한세상은 공용시설뿐만 아니라 세대 내부까지 에너지 절약기술이 적용될 예정이다.
특히, ‘광주 광천 e-편한세상’의 경우 발코니 확장 시 거실에는 3중 유리창호로 여름철에는 외부의 더운 공기를 차단하고 실내 냉방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겨울에는 외부의 찬 공기를 차단하고 실내 난방을 유지할 수 있다. 3중 유리창은 협력업체인 이건창호가 대림산업에서 특허를 받은 것으로 e-편한세상 아파트에만 설치된다.
세대전체에는 기존 스티로폴 단열재 대비 15%이상 단열성이 향상된 신소재 단열재를 설치하도록 하고 확장된 침실의 창호주변은 단열재의 두께를 법적 기준치보다 2배 이상 강화한 단열성능을 자랑한다.
거실에 초 절전 LED 다운라이트를 설치하는 등 세대 내 곳곳에 고효율 램프를 설치하였고, 현관과 침실을 제외한 곳의 등기구들은 일괄소등 스위치를 통해 외출 시 불필요한 전등을 소등할 수 있다. 욕실에는 초 절전 LED 독서등과 심야에 자동으로 켜지는 수면용 LED 센서등이 결합된 기능성 등기구를 설치하여, 밤에 화장실을 이용할 때 전등을 켜는 것을 줄일 수 있다. 또한 고효율 콘덴싱 보일러를 설치하여 열효율은 높이면서 가스 비는 절약할 수 있다.
세대 외부 단지 시설에는 신 재생 에너지인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적용한다. 단지 내 놀이터에 설치될 이 시스템은 태양광 보안등에 있는 태양광 집광설비를 통해 발생된 전기를 공용부위 일부 전원에 공급함으로써 공동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광주 광천 e-편한세상의 길승진 분양소장은 ‘최근 고유가로 인해 에너지 절감 시스템이 적용되는지 여부를 문의하는 고객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대림산업의 에너지 절약형 아파트 기술 적용은 고객들에게 희소식을 안겨주고 있다’면서 ‘에너지 절감 시스템 뿐만 아니라 전 세대가 정남향으로 배치되어 자연 채광과 환기가 우수하며 조명 등 겨울철 난방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까지 더해져 에너지를 절약에는 더할 나위 없는 주거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초 저에너지 절약 아파트는 주택업계 최고의 하이브리드카로, 혜안을 가진 소비자의 에너지 절약 대책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의 062-368-5000, 홈페이지 www.daelim-apt.co.kr)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02-2185-7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