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방재청, 태풍·호우 대비 인명피해 최소화 총력대응
※ 시간/장소 : 7.17(10:30~12:00) 정부중앙청사 13층 소방방재청 상황실
※ 참석 : 교육과학부, 국방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등 11개 기관
인명피해 최소화를 위해 논의한 사항으로는 전국에 731개소의 인명피해 우려지역에 담당공무원을 지정, 유사시 신속하게 주민을 대피시켜 피해를 최소화하기로 하였다. 특히, 세월교, 갯바위낚시터 등 돌발성 피해 우려지역은 재난안전선(Safety Line)을 설치하여 철저한 출입통제를 실시하며 전국 66개 시·군·구 468개 오지마을의 주민대피를 위해 인근 군부대와 협조체계도 구축하고 있다
한편, 대피명령 위반자에 대해서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에 의한 과태료 부과(200만원 이하)를 확행하기로 하였다. 또한, 위험지역 주민에게는 대피지도, 대피수첩을 배포하고 인명피해는 피해당사자인 국민들의 안전의식전환이 중요하므로 홍보를 강화하기로 하였다.
아울러 소방에서는 펌프류 4천여대 등 전국 소방관서의 수방구조·구급 장비의 가동상태를 유지하고 기상특보 발령시 순찰강화 및 소방력을 전진배치하여 신속한 구조·구급체계 활동을 전개하기로 하였다.
□ 각 부처 및 유관기관의 대책
교육과학기술부는 기상특보시 등·하교길 학생안전을 위한 대책을 마련, 추진하기로 하였고 홀로 등·하교 하는 학생에 대한 안전대책 및 학생 안전교육
국방부는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산간오지마을(66개 시·군·구 468개 마을) 주민 또는 독거노인에 대한 대피를 시킬 계획이며
농림수산식품부와 농촌공사에서는 강우로 물이 불었을 경우 논 물꼬정비 자제 등 빈발하는 피해사례에 대하여 농업인들에게 적극 홍보하고, 휴대폰 문자방송(SMS)을 발송키로 하였다.
국토해양부와 수자원공사는 도로 및 대형공사장에 침사지를 설치하여 하류지역 토사유출을 방지하고, 댐 방류 등으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하지 않도록 댐 수위 조절 및 하천관리부서와 긴밀한 협조체계를 유지키로 하였다. 해양경찰청에서도 한 단계 앞선 상황판단회의를 통해 낚시객, 선박 통제 및 해상 안전대책을 철저하게 추진하기로 하였다
□ 인명피해 등 피해 예방을 위해 사전대비에 주력
여름철 풍수해 예방을 위해 지난 4월부터 위험지역 현장 점검·정비 및 장비·물자 확보 등 태풍·호우 사전대비 태세로 갖추어 왔으며 특히, 7. 3 ~ 18 기간중에는 감사원과 합동으로 풍수해 예방을 위하여 전국 자치단체를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통해 취약요인을 사전 제거하였다.
그리고 7.16일에는 전국 구호물품을 보관하고 있는 파주 재해구호 물류센터를 점검하는 등 이재민 발생시 신속한 대응 태세도 확립하고 있다
한편, 제7호 태풍「갈매기」대처를 위하여 이날 회의시 제7호 태풍「갈매기」북상에 따른 정부대책도 함께 논의하여 사전대비에 철저를 기하기로 하였으며 특히 금번 회의시 마련한 부처별 인명피해 최소화 추진대책을 철저하게 추진하여 이번 태풍에는 인명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하였다.
또한, 소방방재청에서는 태풍「갈매기」북상에 따라 한 단계 빠른 신속한 상황판단회의를 거쳐 이번 주말부터 해당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는 총력대응태세에 돌입할 예정이며, 이에 대한 대처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소방방재청 개요
각종 재난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회 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설립된 국가 재난관리 전담기구이다. 전신은 행정자치부 민방위재난통제본부이다. 조직은 청장, 차장과 재난종합상황실,예방안전국, 소방정책국, 방재관리국, 119구조구급국,기획조정관으로 이루어져 있다. 산하기관으로 중앙119구조대, 중앙민방위방재교육원, 중앙소방학교가 있다.
웹사이트: http://www.nema.go.kr
연락처
소방방재청 방재대책과 사무관 강옥륜 02-2100-54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