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추진실무위, 새로운 국가정보화 비전과 전략 제시

서울--(뉴스와이어)--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정남준 행정안전부 제2차관, 박정호 고려대학교 교수 공동위원장)는 국정과제를 실천하고 미래사회를 선도하기 위한 새로운 국가정보화 비전 및 추진전략을 잠정 확정하고, 이를 근간으로 10월말까지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는 ‘창의와 신뢰의 선진 지식정보사회’를 새로운 국가정보화의 비전으로 설정하고, 이명박 정부의 정보화 패러다임으로 4C, 즉 융합(Convergence), 소통(Communication), 창의(Creativity), 신뢰(Confidence)를 제시하였다.

국가정보화의 비전을 실현하기 위한 목표로는

○ 행정의 효율을 높이고, 대국민 행정서비스를 제고하기 위한 ‘일 잘하는 지식정부’
○ 정보화 기반의 경제활성화를 위한 ‘디지털로 잘사는 국민’
○ 건전한 인터넷 환경 조성 등을 위한 ‘신뢰의 정보사회’
○ 국가지식 인프라 구축 등을 위한 ‘창의적 소프트파워’
IT 융합 서비스 활성화 및 국가 SOC의 지능화·첨단화 등을 위한 ‘첨단 디지털 융합 인프라’로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 과제를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에서 발굴·선정해 나가기로 하였다.

또한, 정부주도형에서 민·관 협업 거버넌스로, 단절과 분산의 정보화에서 소통과 융합의 정보화로, 순기능 중심 정보화에서 역기능을 고려한 정보화로, 촉진 중심의 정책에서 활용 중심의 정책으로 추진전략을 개선하기로 하였다.

한편,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는 즉시 추진하여야 할 중점과제를 선정하고, 이를 실무위원회에서 집중적으로 관리해 나가기로 하였다.

우선, 비전 및 전략을 구체화하고, 중장기 전략과제를 선정하여 금년 10월말까지 국가정보화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개별기관이 아닌 범정부 차원의 정보화 기본설계도(국가 EA)를 정립하여 정보자원의 공동활용 등 정보화를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추진·관리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예정이다.

또한, 각 부처의 전산장비를 단계적으로 통합하여 전산장비 구축·운영비의 30%(’12년까지 누계 2,895억원)를 절감하고, 활용률이 낮거나, 중복되는 정부 웹사이트를 폐기 또는 통합하여 ‘12년까지 전체 수의 30%를 감축할 계획이다.

아울러, 국민과 기업 등 수요자 중심으로 서비스를 통합하고, 정보화 관련 9개 법률을 4개로 통합하는 등 법/제도를 개선할 예정이다.

박정호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 위원장은 “지금까지의 정보화가 촉진 중심이었던데 반해, 이제는 활용을 통한 성과 및 가치 창출에 역점을 둘 것”이라며, “기존의 정보화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개선해 나감과 동시에 정보화가 새로이 재도약할 수 있는 지식 인프라 기반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기존 정부주도형으로 운영되었던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는 지난 7월 3일, 정보화촉진기본법 시행령 개정을 통해 민간전문가의 참여를 대폭 강화함으로써 민·관 합동의 범정부적 국가정보화 조정·심의 기구로 새로이 개편되었다.

내년 상반기 중에는 대통령 소속의 위원회가 설립될 예정으로 이를 위한 정보화촉진기본법 개정 전까지는 정보화추진실무위원회에서 실질적으로 국가정보화를 관리해 나갈 예정이다.

안전행정부 개요
전자정부 운영, 민생치안, 재해 재난 관리, 건전한 지방자치제도 개선 및 지방재정 확립, 선거 국민투표, 공무원의 인사 및 복지, 행정조직의 관리 등을 관장하는 중앙행정기관이다. 내무부에서 행정자치부, 행정안전부, 안전행정부로 명칭이 바뀌었다. 세종시에 본부를 두고 있다. 소속기관으로는 정부청사관리소, 국가기록원,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지방행정연수원, 이북5도위원회, 경찰위원회 등이 있다.

웹사이트: http://www.mospa.go.kr

연락처

행정안전부 정보화총괄과 사무관 이상민 02-2100-3529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