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오공과대학교 김한기 교수 연구팀, 국내최초 ‘은의 표면플라즈몬 현상을 이용한 플렉시블 다층 투명 전극’ 개발
일반적으로 터치패널이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ITO 전극은 상온에서 성장 시 높은 저항과 낮은 투과율 그리고 기판이 휘어짐에 따른 빠른 크랙 전파로 플렉시블 태양전지나 플렉시블 유기발광소자에 적용이 어려운 문제를 가지고 있었으나, 이번에 개발된 IZTO/Ag/IZTO 다층구조의 투명전극은 상온 공정을 통해서도 우수한 전기적, 광학적, 기계적 특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김 교수팀은 Ag의 두께에 따른 거동이 다층 투명전극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메카니즘을 밝혀내어 학계에 관심을 얻고 있다.
이러한 다층 박막 기술은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Roll-to-Roll 스퍼터 공정에도 적용을 통해 플렉시블 유기발광소자, 플렉시블 유기물 태양전지분야에도 적용이 가능해 그 가능성을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연구 내용은 최근 미국응용물리학회(Applied Physics Letter)지에 실렸을 뿐만 아니라 광학분야에 인지도가 높은 잡지인 Photonic Spectra 8월호에도 “Silver accentuates flexible OLEDs design"이란 제목으로 소개되었다.
김한기 교수는 “현재 Roll-to-Roll 스퍼터를 이용하여 산화물/금속/산화물 구조를 연속 공정 기술로 제작할 수 있는 연속 롤투롤 기술을 개발 중에 있으며 이를 플렉시블 유기태양전지나 발광소자에 적용할 경우 우수한 특성의 플렉시블 광전소자를 개발할 수 있다”고 밝혔다. 현재 김한기 교수팀은 구미차세대부품소재센터(센터장 박노진 교수)와 LG Display의 지원을 받아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최근 구미산업단지에 새로운 아이템으로 각광받고 있는 LED나 태양전지 산업에 핵심 요소기술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umoh.ac.kr
연락처
기획협력처 대외협력홍보팀장 054)478-7077 이메일 보내기
-
2010년 10월 14일 1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