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집 먼지 진드기, 그 놈들이 돌아왔다…알레르기로 가을철 침대관리 비상
대한 소아알레르기 호흡기학회가 2005년에 서울지역 10개 초등학교 학생 8378명을 대상으로 알레르기질환의 진단 유병률을 조사한 결과 알레르기성 비염이 26.4%를 차지했는데 이는 10년 전인 1995년에 보다 약 1.6배가 증가한 수치이다.
또 아주대병원 내과 박해심 교수와 인하대병원 소아과 손병관 교수가 15세 이하 알레르기 비염 환자 309명의 증상 발병시기를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1년 중 월별로 보면 7월 8.4%, 8월 중순 10%, 9월 40%, 10월 65.6%, 11월 57.1% 등 가을에 가장 높다. 알레르기 비염 환자 2명 중 1명 이상이 가을철에 증상이 극도로 악화되는 것. 일반적으로 봄철에 가장 많다고 알려진 알레르기성 비염이 이 조사에서 3월 발병은 50.6%, 4월 발병은 51.9%로 10~11월보다 낮게 나타났다.
가을철에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증가하는 이유 중에 하나가 집 먼지 진드기 때문이다. 육안으로 구분이 어려울 정도로 작은 0.1~0.3mm 절지동물인 집 먼지 진드기는 사람의 몸에서 떨어진 피부각질이나 동물의 비듬을 먹고 살아간다. 인생의 1/3을 보내는 매트리스는 집 먼지 진드기뿐만이 아니라 곰팡이와 각종 세균의 온상인데 대기가 건조해지면 눅눅했던 매트리스도 말라 조그마한 움직임에도 먼지가 풀풀 나게 된다. 이 때 온도와 습도가 높아 여름 내내 왕성한 번식을 한 집 먼지 진드기의 배설물과 사체부스러기가 공기 중으로 빠져 나와 호흡기에 노출되면 알레르기 비염, 천식 증상을 유발한다. 또 알레르기 천식을 방치했을 경우 기도의 만성염증질환인 기관지천식으로 악화되어 심각한 상황이 될 수도 있다.
알레르기 클리닉 전문가들은 침대보나 매트리스커버는 섭씨 50도 이상의 물에 세탁해 주고 매트리스는 자주 통풍을 시키도록 권한다. 그러나 집안 환기만으로 충분치 않아 여간 신경 쓰이지 않는데 매트리스는 무겁고 두꺼워 가정에서 주부 혼자서 베란다에 내다 햇볕에 말리거나 털기가 쉽지 않다.
집 먼지 진드기 퇴치 연구 모임인 ‘침대진드기퇴치연구회’의 침대청소전문가 최이두 대표는 “매트리스에 서식하는 집 먼지 진드기는 표면보다는 깊숙이 숨어사는 습성 때문에 발견하기 어렵고 제거하기도 쉽지 않다”며 “진드기 살충제나 유인제 보다는 매트리스청소를 통해 집 먼지 진드기나 곰팡이를 두드려 털어내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라고 말한다.
요즘 주부들의 힘든 침대청소 고민을 해결해 주는 침대클리닝 전문업체들이 생겨 이용하는 가정이 급속히 늘고 있다. 1999년에 이미 우리나라에서는 처음으로 독일 비앰브이(BMV GmbH) 사와 기술제휴로 ‘매트리스심층청소’ 시스템과 포테마(Potema) 친환경 진드기 퇴치 스프레이를 도입한 침대청소박사(☎1544-0279, www.cleanit.co.kr)는 매트리스 속에서 진동원리를 이용해 집 먼지 진드기를 털어 뽑아내는 직접방식과 집 먼지 진드기 퇴치 성분이 묻은 피부각질을 먹은 성충의 개체번식을 막거나 알레르겐을 중화시키는 간접방식을 통해 집 먼지 진드기를 퇴치한다.
또 ‘침대진드기퇴치연구회’ 경진영 홍보이사는 “집 먼지 진드기는 3개월마다 5~8배씩 그 숫자가 증가할 만큼 번식력이 대단하다”며 “침대클리닝 서비스는 새로 구입한 침대는 6개월이 지나면, 사용하던 침대는 1년에 적어도 2번 정도 침대청소 전문업체를 불러 맡기는 것이 침대위생관리 면에서 좋다”고 덧붙였다.
<모르면 손해 보는 집 먼지 진드기 퇴치법 4가지>
집 먼지 진드기가 주로 서식하는 곳은 침대와 침구류, 소파, 커텐, 카페트 등의 섬유 제품으로, 심한 경우 침대에서만 수백만 마리 이상이 발견되기도 한다.
1. 집안의 먼지 제거
가장 손쉬운 방법은 진공청소기를 이용한 먼지 제거이다. 이 때 헤파(Hepa)필터가 장착된 진공청소기를 사용해주면 집 먼지 진드기를 제거하는 데 효과적이다. 방은 이틀에 한 번 정도 침실바닥은 물걸레질을 하는 것이 좋고, 스팀청소기를 사용하면 살균효과가 있다. 하지만 매트리스에 스팀분사는 오히려 습한 환경을 조성하기 쉬우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집안의 온도는 섭씨 18도 이하, 습도는 50% 이하로 유지해 집 먼지 진드기 번식을 막도록 노력한다.
2. 아침에 침구 정리
아침에 일어나면 침구는 정리해 이불장에 넣거나 침대 위 한 쪽 편에 접어두면 밤새 땀으로눅눅해진 매트리스가 잘 말라서 밤이면 다시 뽀송뽀송한 잠자리를 만들 수 있다. 또 가끔 베개는 비닐에 싸서 냉동기에 넣어 얼린 후 꺼내어 털어주는 방법도 효과적이다.
3. 환기는 매일 매일
집 먼지 진드기의 경우 습도가 50% 이하로 떨어지면 서식하기 어려워진다. 창문을 열고 환기를 시키면 습도가 낮아지고 집 먼지 진드기의 공기 중 농도가 떨어지게 된다. 쌀쌀해진 날씨로 밀폐된 공간에서 생활하다 보면 공기의 순환이 어려워져 알러지성 비염이 더 심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한다.
4. 세탁은 섭씨60°에
집 먼지 진드기는 60℃이상의 물에 세탁할 때 살아 남을 수 없으며 40℃에서는 단지 6.5% 정도만 죽게 된다. 그러나 30~40℃에서도 세탁효과를 높이려면 미지근한 물에서 세탁 후 3분 동안 2번 찬물에 헹궈내야 한다.
<문의> 침대청소박사(www.cleanit.co.kr) 02-935-0279
참으로맑은세상 개요
(주)참으로맑은세상이 운영하는 침대청소박사는 1999년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독일 BMV GmbH 사와 기술제휴를 맺고 침대클리닝시스템 및 친환경 포테마 천연 진드기 퇴치 스프레이를 도입하여 가정에서 주부 혼자 세탁하기 힘든 침대 매트리스, 천 소파, 카펫, 이불, 베개, 쿠션 등을 출장방문 서비스하는 침대청소 전문업체이다.
연락처
침대청소박사 최이두 대표 02-935-0279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