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보 3~5분 역세권 단지 가격 상승률 ‘高高’
클릭! 스피드정보 부동산뱅크가 지하철 도보 1~3분, 3~5분, 5~7분, 7~10분 등 네 개의 구간으로 나눠 지난 1년간(2007년 9월~2008년 9월)의 아파트값 상승률을 조사한 결과, 3~5분 구간에 위치한 단지들의 가격 상승률은 6.38%(3.3㎡당 1,646만→1,751만 원)로 파악됐다.
이어 5~7분 5.93%(1,404만→1,487만 원), 1~3분 4.57%(1,557만→1,629만 원), 7~10분 4.54%(1,409만→1,473만 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편의성이 가장 뛰어난 지하철역 도보 1~3분 거리의 초역세권 단지가 집값도 잘 오를 것이라는 일반적인 일반적인 인식과는 전혀 다른 결과다.
부동산뱅크 박선옥 연구원은 “도보 1~3분 거리의 역세권 단지는 편의성은 뛰어나지만 혼잡하고 시끄럽다는 단점이 있다”며 “지하철역을 이용하기 쉬우면서도 보다 한갓진 도보 3~5분 거리의 역세권 단지들이 집값도 비싸고, 가격도 잘 오른다”고 설명했다.
한편, 3~5분 역세권 단지의 가격 상승률이 가장 높았던 서울(수도권과 동일)과는 달리 경기와 인천 지역은 역과 보다 떨어져 있는 아파트들의 상승세가 거셌다.
경기의 경우 5~7분 구역 내 아파트가 지난 1년간 2.71%(1,167→1,198만 원)가 올랐지만 1~3분은 1.58%(1,313만→1,333만 원), 7~10분은 1.36%(1,056만→1,071만 원) 상승에 그쳤다. 또 3~5분 거리의 아파트는 오히려 -0.65%(1,338만→1,329만 원) 떨어지는 모습을 보였다.
인천은 역과의 거리가 더 먼 도보 7~10분 아파트가 28.22%(618만→793만 원)으로 가장 많이 올랐다. 이어 5~7분 23.41%(609만→751만 원), 3~5분 23.08%(611만→752만 원), 1~3분 18.99%(623만→741만 원)씩 뛰었다.
서울에 비해 지하철노선이 부족, 버스의 비중이 높은 이들 지역의 특성상 지하철역이 가까운 게 큰 메리트가 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02-2185-7222 미디어팀 박선옥 연구원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