버블세븐지역, 올 들어 평균 2,463만 원 하락

서울--(뉴스와이어)--올 들어 버블세븐지역이 평균 2,500만 원 가량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뱅크에 따르면 올 초(1월 첫 주) 버블세븐지역의 평균매매가는 8억 1,806만 원이었지만 현재(10월 6일)는 7억 9,343만 원으로 2,463만 원(3.01%)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동안 버블세븐지역을 제외한 서울과 경기지역은 각각 3,504만 원(4억 1,605만→4억 5,109만 원), 1,127만 원(2억 9,140만→3억 267만 원)씩 올랐다.

버블세븐지역은 올 들어 2월(78만 원) 한 달을 제외하고는 9월 말까지 매월 적게는 98만 원에서 많게는 527만 원까지 하락했고, 지난 8월에는 평균 매매가 8억 원선이 붕괴되기도 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목동이 8억 7,819만 원에서 8억 2,312만 원으로 5,507만 원(-6.27%)이 하락했고, 이어 분당이(-3,549만 원), 용인(-3,386만 원), 강남구(-2,467만 원), 송파구(-2,111만 원), 서초구(-1,235만 원), 평촌(-507만 원) 등의 순으로 하락폭이 컸다. 특히 목동(-6.27%), 분당(-5.12%), 용인(-6.66%)은 하락률도 5~6%대로 평균 하락률(3.01%)보다 2배 이상 컸다.

목동의 경우 과거 집값 상승률이 다른 지역에 비해 유독 컸던 것이 가격 하락폭을 가속화 시켰던 것으로 분석된다. 목동은 집값 폭등기였던 지난 2006년 한해 동안 43.74%(6억 2,325만→9억 3,625만 원)이 오르면서 용인(34.02%), 강남구(32.27%), 분당(23.27%) 등 다른 버블세븐지역보다 집값 상승률이 더 높았다.

또 분당과 용인의 경우 99㎡이상 중대형아파트의 비율이 각각 87%(6만 7,988가구 중 5만 9,408가구), 62%(9만 4,058가구 중 5만 7,660가구)로 다른 지역에 비해 높은데다 판교입주와 광교분양까지 앞두고 있는 것이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개별단지로는 용인 죽전동의 반도보라빌 241㎡가 18억 3,000만 원에서 12억 5,000만 원으로 연초대비 5억 8,500만 원(31.88%) 하락했고, 분당 정자동 한솔LG 161㎡가 8억 2,500만 원으로 2억 1,500만 원(20.67%) 떨어졌다.

송파구에서는 문정동 올림픽훼밀리 185㎡가 15억 6,500만 원에서 13억 2,500만 원으로 2억 4,000만 원(15.34%)이 빠졌고, 목동 신시가지2단지 148㎡도 14억 2,500만 원으로 2억 2,500만 원(13.64%) 하락했다.

부동산뱅크 이정민 팀장은 “정부의 연이은 규제완화정책에도 국내외 경기 침체가 심하다 보니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지 않다”며 “현 상황에서는 규제완화보다는 경기회복여하가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02-2185-734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