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혼여성 33.4%, 원치 않는 임신으로 인공 임신 중절 경험

서울--(뉴스와이어)--기혼 여성 3명 중 1명, 원치 않은 임신으로 인한 인공 임신 중절 수술 경험 있다.

이 같은 사실은 여성들의 올바른 피임인식을 위한 러브미 캠페인의 일환으로 피임연구회(회장 이임순, www.piim.or.kr)에서 진행한 기혼 여성의 피임 행태 조사에서 밝혀졌다. 이번 조사에는 전국각지에서 가임기 연령에 속하는 기혼여성 1,209명이 참여, 전체 응답자 중 33.4%를 차지하는 404명의 여성이 원치 않은 임신으로 인해 인공 중절을 경험한 적이 있다고 응답하였다.

신체 상태와 라이프 스타일에 맞는 피임법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기혼 여성들이 '매우 관계 있다(71.9%)' 또는 '관계 있는 편이다(18.1%)' 라고 응답하였으나 현재 특정 피임법을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는 여성은 절반에 못 미치는(48%) 것으로 나타났다. 피임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지만 정작 정보와 지식의 부족으로, 본인에게 맞는 피임법을 선택하여, 지속적으로 실천하고 있지는 못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피임에 대한 정보 부족을 반영하듯, 올바른 피임법의 선택을 위해 산부인과 상담의 필요성을 느끼는 여성은 84%에 달했다. 그러나 정작 피임정보나 도움이 필요할 때는 소수(10.3%)만이 전문의를 찾고 있으며, 많은 여성들이 인터넷을 통한 정보 검색(38.5%)에 의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 외 여성들은 친구 및 동료·남편 등을 통해 피임 정보를 얻는다.

이번 조사에서 여성들이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피임법과 실제 사용하는 피임법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들은 가장 효과적인 피임방법으로 콘돔 > 정관수술 > 미레나 > 먹는 피임약 > 루프 순으로 꼽고 있었으나, 실제 사용하는 피임법에 대해서는 콘돔 > 질외사정법 > 먹는 피임약 > 루프 > 정관수술 순으로 응답했다.

특히 질외사정법(24.5%)은 효과적인 피임법으로는 인식하고 있지 않지만 콘돔(45.4%)에 이어 가장 많이 사용하는 피임법으로 꼽혔다. 응답자 절반 이상이 사용하고 있는 콘돔과 질외사정법 모두 남성 중심의 피임법으로 여성들의 주체적인 피임에 대한 인식 확대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여성들은 피임실패율이 15%에 이르는 콘돔을 가장 효과적인 피임법이라고 꼽고 있어 기혼 여성들조차도 정확한 피임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임연구회 이임순 회장은 "기혼 여성도 피임의 인식과 지식 수준은 아직 낮은 편"이라고 밝히며 "인공 임신 중절로 인한 후유증은 정신적·육체적 고통뿐만 아니라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어 이후 가족계획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이번 조사에서도 드러나듯 많은 기혼 여성들이 피임에 실패했을 때 인공 임신 중절 수술을 선택한다" 라고 말하며 기혼 여성의 피임 교육 중요성을 강조했다.

피임연구회는 올바른 피임문화 정착을 진행 중인 '러브미(LOVE ME) 캠페인'의 일환으로 기혼 여성들의 피임 교육 및 인식 확산을 위해 '전국 엄마 모의고사'를 실시하고 있다. 지난 4월부터 진행된 '전국 엄마 모의고사'에는 현재까지 3만 여명이 참여했다. 11월 30일까지 러브미 캠페인 홈페이지(www.loveme.or.kr)를 통해 응시할 수 있다.

피임연구회는 '전국 엄마 모의고사' 응시자 1인당 100원씩 적립하여 미혼모들을 위해 사용할 계획이다. 지원금은 홀트 아동 복지회에 소속된 미혼모들의 쉼터인 '아름뜰'에 전달된다.

피임연구회 개요
피임연구회(건강한 가족계획 연구회)는 올바른 피임정보 제공을 통해, 여성과 사회 전체의 건강을 보호하자는 취지로 지난 96년 산부인과 전문의들이 뜻을 모아 만든 모임이다. 피임에 대한 정례적 세미나와 자료발표, 책자 발간뿐만 아니라, 가임 여성 특히 청소년 및 미혼여성을 대상으로 하는 피임강좌를 개최해 인공유산, 미혼모, 불임증 등의 사회문제를 예방하고 건강한 사회를 만들어 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piim.or.kr

연락처

KPR 오주연 대리, 양수정 AE 02-3406-2214 02-3406-2250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