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협력을 통한 통합적 청소년 복지를 말한다”

서울--(뉴스와이어)--중학생인 김상진 군(가명, 15세)은 지난해 난생 처음으로 중국에 다녀왔다. 상진군은 첫 해외연수를 통해 새로운 문화를 접하고 중국어 공부에 대한 욕심도 생겨 학교공부에 더욱 열중하게 되었다. 이는 선린대가 영덕 1318해피존 학생들을 위해 마련한 ‘중국문화탐방’

농산어촌의 경우 물적·인적 인프라의 부족으로 청소년의 복지지원이 어려운 점이 많이 있는데 1318해피존 ‘I CAN DO IT’은 선린대가 운영을 책임지고 전문인력을 파견하여 청소년 복지의 질을 향상하고, 지역사회의 청소년을 지역사회의 다양한 자원이 함께 책임지는 민관협력을 통해 영덕군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경상북도 영덕군 영해면에 위치하고 있는 1318해피존 ‘I CAN DO IT’은 사회적으로 어려운 청소년들의 교육복지문화를 통합적으로 지원하고 있는 청소년전용지역아동센터이다. 특히, 1318해피존 ‘I CAN DO IT’은 영덕군청의 협력으로 관내의 유휴 건물을 지원받아 운영되고 있으며, 교육청의 협력으로 프로그램비의 일부와 원어민 영어교사를 파견하여 학습지원에 도움을 받고 있다. 그 뿐만이 아니라 농협문화복지재단, 청년회, 로타리 클럽의 후원으로 지역사회의 청소년을 위한 지원이 든든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최근 우리 사회는 아동, 청소년 정책의 통합과 다양한 방과 후 활동 간의 연계 협력 방안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정부 부처간, 정부와 민간 간, 또는 다양한 지원 사업 간의 연계, 협력을 통한 통합적 지원체계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통합적 모색을 지난 2006년부터 시도하고 있는 1318해피존 사업은 지역 내 청소년들에게 통합적 지원을 하고, 그들의 건강한 성장과 함께 하려는 청소년 전용 지역아동센터 시범모델사업이다. 1318해피존 사업은 민, 관, 기업 간의 중앙 단위에서의 협력일 뿐 아니라, 지역 내에서 1318해피존을 중심으로 한 청소년 지원의 연계, 협력 실천 사례이다.

이 사업은 뉴거버넌스적 운영방식으로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SK, (사)부스러기사랑나눔회가 사업협력협약을 맺고 2006년 7월에 시작, 기업과 정부, 민간의 공동 협력 사업이라는데 의미가 있다. 빈곤과 소외문제를 겪고 있는 청소년의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기 위해 교육과학기술부, 보건복지가족부, 지자체가 행정적, 제도적 지원을 한다. 기업·민간단체는 사업을 기획 및 운영하고, 기업이 재정을 부담하며, 해피존 운영 컨설팅 및 종사자 교육과 훈련을 통해 모델사업으로서의 효과성을 높이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은 운영주체간의 역할 분담과 협력은 매우 새로운 시도로 사회문제를 정부, 민간, 기업이 공동 협력하여 해결하는 뉴거버넌스적 접근의 긍정적 성과를 만들어내고 있다.

이에 (사) 부스러기사랑나눔회 1318 해피존 사업단은 지역사회에서 민관 협력을 통한 통합적 청소년 복지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민관 협력 사업으로 진행된 1318 해피존 사업의 성과를 공유하며, 지역사회에서 더 발전된 민관 협력 관계를 모색하기 위해 11월 6일(목)에 지자체 복지 및 교육담당 공무원과 함께 하는 복지 네트워커 간담회 자리를 마련하였다.

이번 간담회는 보편적 복지의 관점에서 빈곤·소외 지역 청소년에 대한 통합적 지원에 대한 이해를 통해 그 필요성을 공유하고, 지자체 복지 및 교육 담당 공무원들이 지역사회 청소년에 대한 통합적 지원을 고민하고 만들어가는 네트워커로서 함께 소통하는 장이 될 것이다.

간담회에서 광주대학교 이용교 교수는 “도시와 농촌 청소년에 대한 이해와 지원”이라는 제목으로 민관 협력을 통한 통합적 청소년 복지를 추진하기 위해 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민관협력의 중요성을 제기하고, 도시와 농촌 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하여 어떠한 지원이 만들어져야 하는지를 발표할 예정이다.

1318해피존 ‘I CAN DO IT ‘대표인 선린대학교 우영효 교수는 1318 해피존 사례를 통해 지역에서의 민관 협력 성과를 발표하고, 그 의미를 공유할 예정이다. 또한 1318 Happy Zone 한림의 서주영 센터장은 일본 에도가와구의 ‘방과 후 아동 플랜’, ‘스쿠스쿠 스쿨’, 그리고 청소년 전용 아동관 ‘공육프라자 카자이’ 의 사례를 통해 아동 및 청소년에 대한 일본의 민관 협력 지원의 구체적인 내용과 시사점을 발표할 예정이다.

웹사이트: http://www.sk.co.kr

연락처

프레인 김수희 02-3210-9619(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