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줄여볼까?
실제 야후 코리아가 지난 11월 19일부터 실시한 '경제위기 상황 전망'에 대한 네티즌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불황이 체감 단계에 이르면서 '불황에 가장 부담스러운 지출'로 전체 2,129명의 응답자 중 39%에 해당되는 828명이 '경조사비'를 꼽은 데 이어 '사교육비'가 22%(472명)로 그 뒤를 이었다. 통계청 최근 자료에서도 알 수 있듯이 전체적으로 교육비가 늘면서 가계 지출에서 차지하는 교육비 비중은 작년 3분기 11.7%에서 올해 12.2%로 0.5%포인트 높아져 가계를 압박하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사교육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모색되고 있다.
최근 사교육비에 대한 반발과 공교육의 획일적인 교육에 반대해 부모들이 아이의 적성과 특성에 맞는 교육을 직접 가르치는 홈스쿨링이 확산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만 하더라도 미 전역에서 130만∼150만 명의 학생이 재택 교육을 받고 있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홈스쿨링 인기가 높아지면서 아이들에게 쉽게 한글이나 영어, 숫자를 가르치기 위해 만들어진 연습용 카드인 ‘한글/영어/숫자카드’의 판매량이 증가했다. 실제 온라인 마켓플레이스 옥션이 발표한 ‘2008년 히트상품 20’에 홈스쿨링 상품 판매 개수가 8만5천 개로 5위를 차지하기도 했다.
인터넷TV도 새로운 교육방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유아들의 놀이 프로그램에서 성인들의 평생학습 교육내용까지 다양한 콘텐츠가 축적돼 있고, 최근 실시간 방송이 시작된 후론 유명 입시학원의 강사가 실시간으로 학생들의 질문을 주고받는 강의까지 나오고 있기 때문이다.
KT가 중등교육 전문기업 정보에듀팝과 함께 메가TV를 통한 양방향 학원강의 서비스 ‘라이브 에듀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고, SK브로드밴드는 브로드엔TV를 통해 수능, 논술 등 다양한 교육 콘텐츠를 선보이고 있다. LG데이콤의 myLGtv도 유아, 유치원생, 초등학생 등 연령별로 단계를 나눠 수준에 맞는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집안을 도서관 분위기로 꾸민 '라이브러리 하우스'(library house)도 하나의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라이브러리 하우스란 TV와 오디오 등을 놓는 자리에 책을 꽂을 수 있는 서재 등을 만든 주택을 말한다. 이는 가족이 함께 생활하는 거실을 서재로 활용, 집에서부터 책 읽는 환경을 만들 자는 데 주목적이 있다.
이 때문에 라이브러리 하우스에 잘 어울리는 집중력강화책상, 흔히 말하는 가정용 독서실책상이 최근 사회적 분위기에 맞물려 학부모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학습분위기와 성적 향상에도 큰 도움이 되고 있다. 대표적인 제품 브랜드인 글벗교구(www.studyeasy.co.kr)는 일반 독서실책상은 물론 EBS 교육방송 등 학생들 동영상강의에 최적화된 가정용 독서실책상 '뉴프라임'도 출시하면서 학부모들과 학생들에게 입소문을 타고 있다.
글벗교구 김평진 대표는 "폭증하는 사교육비로 가계 부담이 커지고 교육의 양극화도 심화되는 등 심각한 사회 문제를 야기하고 있다"며, "정부 차원의 대책도 필요하겠지만 학부모들도 사교육에만 의존하지 않고 자녀들을 효과적으로 교육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봐야 할 시점이다"고 강조했다.
글벗교구 개요
글벗교구는 2003년도에 창립되었으며, 학습용 칸막이 책상(집중력 강화책상, 가정용독서실 책상)을 주요 상품으로 생산하고 있으며, 인터넷을 통해 판매하는 제조업체이다.
웹사이트: http://www.studyeasy.co.kr
연락처
(주)비앤씨컨설팅 안혜경 02-3443-0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