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방에서 보는 여드름과 오장육부의 관계
한편 한의학에서는 여드름이 나는 위치만으로 어느 부위의 장기에 이상이 있는지를 판단하기도 한다. 화접몽한의원 서봉원 원장의 도움으로 여드름과 오장육부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자.
◇ 여드름이 이마에 난다면
한방에서 이마는 심(心)의 화(火) 속한다고 이야기한다. 즉 이마 부위에 유독 집중되어 있는 여드름 이라면 심장에 열이 많기 때문이라고 여긴다. 또한 앞머리 등의 물리적 자극을 피하는 것이 좋다.
◇ 볼 부분에 여드름이 난다면
얼굴의 볼 부분에는 위장 경락이 흐른다. 그래서 소화가 제대로 안 되면 경락이 막혀 볼에 여드름이 나게 된다. 볼에 여드름이 난 사람은 과식을 절대 해서는 안 되며, 기름기가 많거나 단음식을 피하는 것이 좋다. 속이 쓰리거나 식후 더부룩하다면 마(산약)죽이나 율무차등을 섭취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 입 주변에 여드름이 난다면
턱과 입주변은 한의학에서 신장과 자궁에 해당된다. 다른 부분은 깨끗한데 유독 입주변과 턱에 여드름이 많은 사람이라면 신장과 자궁의 기운이 부족하거나 하복부의 혈액순환이 불량한 경우가 많다. 이런 경우에는 항상 아랫배를 따뜻하게 해주는 것이 우선이다. 여성의 경우 생리불순과 함께 여드름증상이 악화되는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는 것이 좋다.
서봉원 원장은 “한의학에서도 피부에 관한 체계적인 이론이 정립되어 있는데, 여드름의 면포는 풍열(風熱)의 기운에 의한 것으로 설명하고 있다”며 “각종 논문과 문헌에 의하면 호흡기와 소화기에 쌓인 열 때문에, 장에 있는 습기와 열로 인해, 또는 한기와 열기의 역전현상으로 인한 안면부로의 열의 치우침 등 으로보고 해당원인을 잡아내어 체내 순환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것을 근본적인 대책으로 제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도움말 = 화접몽한의원 서봉원 원장
화접몽한의원 개요
화접몽한의원은 화안치료(여드름치료)및 비만을 관리하는 병원이다.
웹사이트: http://www.mongclinic.com
연락처
(주)조인스엠 마케팅 백승협, 02-511-0885, 010-8837-0452,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