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넷킬러 IT 자산 관리 솔루션’ 미국 CES 통해 전세계 출시

서울--(뉴스와이어)--IT 자산 관리 전문 기업인 넷킬러주식회사(대표이사 정성욱, www.netkiller.com)는 ‘넷킬러 IT 자산 관리 솔루션’을 소프틀웨어 서비스(SaaS) 버전으로 미국 CES 전시회를 통해 미국 등 전세계 시장에 정식 출시하고 본격적인 영업에 나선다.

‘넷킬러 IT 자산 관리 솔루션’ 사내 각 PC에 에이전트를 설치하여 실시간으로 해당 PC에 대한 상세 하드웨어 프로파일 모델 매칭 기능 및 소프트웨어 설치 내역을 검출,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중앙집중식 자동화된 IT 자산 관리 가능하다.

최근 추가 된 유·무형 IT자산관리 라이프사이클 기능을 통해 기업 내 모든 IT 자산의 도입(구매)에서부터 사용자 할당, 반납, 대기, 업그레이드(정비)와 폐기 및 중고 매각의 시나리오에 따른 관리 체계를 수립할 수 있도록 했다.

국내에는 이미 한화그룹 본사를 비롯, 예스24, 기산전자, 한국모노레일, 이패스코리아 등 100여사의 엔터프라이즈 고객을 확보하였으며, 현재 약 1,000여개의 기업이 온라인을 통해서도 SaaS 형태의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국내 최대의 고객 레퍼런스를 가진 솔루션이다.

미국의 경우 불법 복제된 소프트웨어의 기업 내 사용 시 한 건당 최대 2억5천만원에 달하는 벌금 및 징역 5년 등의 민형사상 처벌로 저작권법이 매우 강력할 뿐만 아니라 정품사용에 대한 문화가 정착되어 있어 엔터프라이즈 IT 자산관리(거버넌스)에 대한 필요와 관리 시스템이 최초로 개발된 곳이기도 하다. 이에 따라 포춘 500대 기업뿐 아니라 미국 현지 중소형 기업도 IT 자산관리 및 정품 소프트웨어에 대한 컴플라이언스 규정에 부합하기 위해 다양한 IT자산관리 시스템을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넷킬러는 올해 1월 8일부터 11일 까지 미국 라스베가스에서 개최되는 CES 전시에 단독 부스로 참가하며, 기존 미국 현지 법인(넷킬러 어메리카)의 주요 고객사에 대하여 SaaS 버전을 정식 릴리즈 및 시연할 계획이다. CES 전시장 부스위치는 46032(힐튼호텔)이다.

넷킬러 정성욱 사장은 이번 미국 시장 진출에 대해 “넷킬러 미국 현지 법인인 ‘넷킬러 어메리카’를 통해 지난 한해 미국 현지는 물론 중동 및 동남아시아 등 고객을 확보하며 글로벌 비즈니스로 성장할 수 있었다”며 “국내 순수 기술로 개발된 ‘넷킬러 IT 자산 관리 솔루션’을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 형태로 선보임으로써 첫 해만 미국에서 약 50만 달러의 수익을 달성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넷킬러는 미국 현지 시장에서의 지속적인 경쟁력 확보를 위해 ‘구글 미니(Google Mini) 엔터프라이즈 검색 엔진과의 연동으로 소프트웨어뿐만 아니라 디지털 컨텐츠 저작물 검색 관리 기능을 더할 계획이다. 또한, 퀵북 및 SAP ERP 등 회계 소프트웨어와의 연동을 통한 IT 자산의 회계 관리 기능 및 파트너사인 세일즈포스닷컴의 플랫폼 기반 버전 4를 올해 상반기 중 정식 출시할 계획이다.

넷킬러 개요
넷킬러(Netkiller, 대표 정성욱)는 한국의 서울과 부산, 그리고 미국 실리콘밸리와 동부 뉴욕까지 비즈니스 영역을 확장한 글로벌 IT 기업으로, 지난 16년간 구글 워크스페이스와 통합된 솔루션을 개발해 제공하고 있다. 한국내 주요 고객사로는 카카오그룹과 관련 계열사, 평화발레오를 비롯하여 우리 아메리카은행, 휠라, 한미약품 등이 있다. 넷킬러는 ISO 27001 ISMS 정보 보호 인증 기업이다. 넷킬러 ISMS는 구글 통합 보안 로그인 및 드라이브 외부 유출 탐지 및 격리, 활동 이력을 추적하는 솔루션이다. 구글 드라이브 DLP의 경우 구글 드라이브상의 데이터가 인가되지 않은 내외부 사용자에게 고의 또는 실수로 공유되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시스템이다. 구글 드라이브의 모든 파일에 대해 실시간 활동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무제한 변경 사항 아카이빙 및 추적이 가능하다. 넷킬러 ISMS는 Google Cloud Marketplace를 통해 설치해 이용할 수 있다.

웹사이트: http://www.netkiller.com

연락처

넷킬러 정성욱 대표 02-2052-0453, 010-5894-28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