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북미지역본부장 안명규 사장, “경기침체로 어렵지만, 우리에겐 절호의 기회”
안 사장은 “경기침체로 비용절감이 수반되겠지만, 고객을 위한 마케팅 비용과 R&D 투자는 줄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소비지출이 줄어드는 어려운 상황에서도 경기침체 이후(Post Recession)를 준비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다.
LG전자 북미지역본부는 지난해 132억 불의 매출을 달성해, 07년 대비 매출이 16% 늘었다. 5년 전인 2003과 비교하면 76억 불이 증가했다. 올해 매출에 대해 회사측은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으로 예상하고 있다.
북미시장에서 LG브랜드의 성공은 인지도 조사에서 뚜렷이 나타나고 있다. 06년 75%인 브랜드 보조 인지도는 07년 83%에 이어 지난해는 92%까지 높아졌다.
가장 처음 떠오르는 브랜드(최초 상기도, TOM ; Top of Mind)를 조사한 결과, LG전자는 지난해 15%로 07년 8% 대비 두 배 가까이 높아졌다.
이에 대해 안 사장은 “소비자들이 어떤 제품을 원하는지에 대한 꾸준한 통찰을 바탕으로 프리미엄 전략을 펼쳐왔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올해 계획에 대해 안 사장은 “브랜드 가치 상승을 기반으로 프리미엄 전략을 유지하는 전략이 큰 골격”이라며 “비용점감을 비롯해 재고자산 및 매출채권 감축 등 현금흐름(Cash Flow) 관리를 보다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세계최저 소비전력 LCD TV, 네트워크 블루레이 플레이어 등을 새롭게 선보이며 제품 리더십을 강화하고, 야후, 유튜브, 넷플릭스(Netflix) 등과 사업제휴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고객 서비스와 친환경 전략도 올해 북미지역 경영전략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LG전자는 이미 지난해 8월부터 미국시장에서 친환경 전략의 하나로 ‘회수 및 재활용(Take Back & Recycling)’ 활동을 시작했다. 이 회사는 미국 1위의 제품 회수 및 재활용 업체인 웨이스트 매니지먼트社(Waste Management)와 손잡고, 미국 50개 주 160개 지점에서 LG 제품을 수거해 재활용하고 있다. 안명규 사장은 “95%의 미국인들이 20마일 이내에서 재활용 센터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겠다는 중장기 전략도 갖고 있다”고 말했다.
LG전자는 올해도 북미시장에서 GE, 월풀, 일렉트로룩스 등을 뛰어넘는 가전사업의 수익성을 유지하고, LCD TV는 Top 3위 위상을 확고히 할 계획이다. 휴대폰 사업도 시장점유율 확대를 계획하고 있다.
LG전자 개요
LG전자는 가전제품, 전자제품, 자동차 부품 등 여러 분야에서 기술혁신을 선도하는 글로벌 리더이며 세계 130여 개 사업장에서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H&A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HE (Home Entertainment), VS (Vehicle component Solutions), BS (Business Solutions)의 사업본부로 구성됐으며 TV, 세탁기, 냉장고, 자동차부품, 사이니지, 로봇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lge.co.kr
연락처
LG전자 홍보팀 김경환 과장 02-3777-3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