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비상경제대책반 1차회의 개최

서울--(뉴스와이어)--전경련(회장 조석래)은 경제계가 공동으로 경제위기 조기극복 대책을 마련하고 경제현안에 신속히 대응하기 위해 비상경제대책반을 본격 가동하기 시작했다. 지난 1월 전경련 회장단은 경제가 어려운 상황임을 감안하여 경제계 차원에서 경제난국 극복의 지혜를 모으자는 취지에서 비상경제대책반을 운영키로 발표한 바 있다.

전경련은 2월 17일(화) 롯데호텔(소공동)에서 삼성그룹 등 18개사 관련 임원들을 참석시킨 가운데 노대래 기획재정부 비상경제상황실장(차관보)을 초청하여 제1차 비상경제대책반 회의를 개최하였다.

이날 회의에서 전경련은 ‘2009년 600대 기업 투자계획’을 발표하였다. 전경련 조사 결과 올해 600대 기업의 투자규모는 전년 대비 2.5% 감소한 86조 7,593억원이 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의 한파가 ’09년 투자에 반영된 결과로서 ’01년 이후 8년 만에 감소세로 전환되었다. 업종별로 보면 제조업은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10.9% 감소할 전망이며, 비제조업은 전력·가스·수도업 등에서의 투자 호조세에 힘입어 9.5% 증가할 전망이다. 특히 반도체, 디스플레이, 조선업 등은 글로벌 금융위기가 본격화되기 전인 작년에 투자를 확대하여 ‘09년 투자 규모가 각각 42.5%, 40.9%, 26.5%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하지만 철강과 정유 업종은 전년에 이어 설비고도화 투자 등으로 각각 26.4%, 42.6%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또한 응답기업들은 올해 기업들의 투자결정에 있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세계경기 회복 여부’(36.8%)를 들었으며, 기업의 투자활성화를 위해서는 금융시장의 조속한 안정(33%)과 정부의 과감한 경기부양 정책(32.5%)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비상경제대책반 1차회의에 참석한 기업들은 자금시장 안정을 위해 ‘채권안정펀드의 회사채 및 여전채 매입확대’, ‘회사채 발행 요건의 완화’, ‘부채비율을 기준으로 한 금융사 진입규제 완화 및 재무약정 재체결 일시유예, ‘수출입 금융 활성화를 위한 지원’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또한 비상경제대책반 위원들은 최근 각종 부정적인 경기지표의 발표로 인해 수출과 내수가 동시에 위축이 우려됨에 따라 정부의 소비활성화를 위한 정책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

전경련 비상경제대책반은 이승철 전경련 전무를 반장으로 경기침체의 여파를 직접 피부로 느끼는 주요그룹의 임원으로 구성되며, 총괄·실물경제팀, 금융·구조조정팀, 투자촉진팀 등 3개팀으로 운영된다. 비상경제대책반은 우선 기업이 현재 겪고 있는 경영애로요인과 현안을 파악하여 이를 해소하는데 주력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실물·금융 동향을 신속히 파악하여 정보를 공유하고, 정부의 비상경제상황실과도 긴밀한 업무협조를 통해 경제정책에 대한 의견을 수시로 제시할 예정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 개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61년 민간경제인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설립된 순수 민간종합경제단체로서 법적으로는 사단법인의 지위를 갖고 있다. 회원은 제조업, 무역, 금융, 건설등 전국적인 업종별 단체 67개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 432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외자계기업도 포함되어 있다. 설립목적은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데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ki.or.kr

연락처

전경련 임상혁 팀장 02-3771-0317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