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종묘 녹지구간 복원…율곡로는 지하화, 6차로 확장
서울시는 일제강점기인 1931년, 민족혼 말살정책의 일환으로 창경궁~종묘를 단절해 개설한 율곡로 상부에 대한 복원 및 녹지축 연결 사업을 본격화한다고 17일(화) 밝혔다.
율곡로는 조선왕조 때 경복궁과 창덕궁을 잇는 중요한 길로서 동십자각에서 창덕궁 돈화문까지만 뻗어 있었다. 그러나 일제는 임금이 사는 궁궐과 조상이 묻힌 묘를 단절시키기 위해 도로를 개설, 창경궁과 종묘를 막아버렸고, 현재 양 문화재는 폭 5m정도의 육교에 의해 간신히 연결돼 있는 상태다.
구체적인 사업구간은 ‘종로구 창덕궁 돈화문~원남동 사거리’ 이며 상부는 녹지공간으로 다시 태어나고 문화재도 복원된다.
또 기존의 도로는 지하화 하는데, 이때 연장 600m의 4차로는 6차로로 확장해 병목구간도 개선함으로써 사직로⇒ 의주로⇒ 퇴계로⇒ 흥인문로⇒율곡로로 이어지는 도심순환축을 개선할 계획이다.
창덕궁 돈화문~원남사거리까지 4차로 600m 구간은 원래도 병목현상이 심해 오후 통행속도가 20Km/hr 이하로 정체가 심한 실정이었다.
서울시는 창경궁~종묘를 잇는 이번 사업이 서울시 도심재창조프로젝트 3축 사업(창경궁~종묘~세운녹지축~퇴계로~남산)의 시발점이자 거점으로서 나머지 구간 녹지축 연결에도 기폭제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세계문화유산인 창경궁~종묘 간 녹지축 복원은 새롭게 조성되는 세운광장(공원) 및 청계천 수변공간, 인사동의 전통문화자원과 연결돼 도심의 주요 관광자원과 600년 역사문화도시 서울의 이미지를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市는 밝혔다.
총 사업비 481억원이 투입되는 이번 녹지축 조성사업은 2월부터 설계 작업에 들어가며, 2011년 완공을 목표로 오는 10월 착공한다. 또 문화재 복원은 설계 과정에서 문화재청, 문화재위원과 방향 등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청 도시교통본부 도로계획담당관 신한철 02)3707-8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