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기업경기 전망, 부진세 지속

서울--(뉴스와이어)--전경련 조사 결과 600대 기업의 3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 Business Survey Index)는 76.1로 나타나 지난해 5월 이후 10개월 째 부진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었다. BSI가 10개월 연속 100 이하를 밑돈 것은 정치불안기인 ‘80년대 초반(’80.2∼‘81.11)과 외환위기 때(‘96.7∼’99.1)를 제외하고는 통계 작성 후 처음이다.

* 카드사태(‘04.6∼’05.2) 때는 9개월 연속 100이하를 기록한 적이 있음

다만, 올 들어서 경기가 나아질 수 있다는 응답이 소폭 증가하면서 BSI가 지난해 4/4분기의 가파른 하락세를 멈추고 다소 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경기 부진세가 다소 완화될 것으로 전망하는 이유는 전월비 조업일수의 증가, 3월 신학기 시작, 주총 마무리에 따른 신규 투자 및 새로운 사업계획의 본격적 추진 등 계절적 요인이 작용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 3월 계절조정치는 68.8로 전월에 비해 2.9포인트 하락(54.6(‘09.1) → 71.7(’09.2) → 68.8(‘09.3))

이와 함께 제한적이나마 기업의 자금사정이 호조되고 있는 것도 지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회가 주요그룹 재무담당 임원을 면담조사한 결과, 간접 금융을 통한 자금조달은 여전히 어려우나 국고채 금리 하락으로 회사채 수요는 일부 되살아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자금사정BSI 추이 : 75.1(‘08.11)→68.4(’08.12)→68.1(‘09.1)→79.5(’09.2)→79.8(‘09.3)

아울러 2기 경제팀의 출범과 함께, 추가경정예산 편성, 재정 조기집행, 녹색뉴딜 등 정부의 경기부양정책이 본격적으로 추진될 것이라는 기대감도 지수반등을 가져온 것으로 보인다. 또한 1월에 크게 감소했던 수출이 2월부터 증가세로 돌아서고 무역수지가 흑자로 전환할 것이라는 기대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 수출BSI 추이 : 87.8(‘08.11)→77.5(’08.12)→71.1(‘09.1)→82.0(’09.2)→91.7(‘09.3)

내수(89.3), 투자(83.1), 채산성(79.3)은 어려움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였다. 다만 고용(99.8)은 3월이 신규채용 시기인데다 대기업들의 고용 안정 노력 등으로 약보합세를 보였다. 산업별로는 제조업(76.8), 비제조업(75.1), 경공업(71.0), 중화학 공업(78.5) 모두 부진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매출액을 감안한 기업별 가중지수는 75.1로 나타났다.

2월 BSI실적은 62.4로 나타났다. 부문별로는 고용(99.8), 수출(84.3), 투자(79.6), 자금사정(78.7), 내수(72.8) 등이 전반적으로 어려웠으며, 상대적으로 채산성(69.1) 부문이 가장 낮은 수치를 보였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비제조업(63.6)이 운송업(35.7), 출판 및 기록물 제작(57.9) 등의 업종을 중심으로 부진했고 제조업(61.6)도 여전히 부진한 모습을 보였다. 제조업 중 경공업은 섬유, 의복 및 가죽, 신발(31.8), 펄프, 종이 및 가구(35.7) 등이 낮은 실적을 기록했으며, 중화학공업(66.3)은 고무·플라스틱, 및 비금속 광물(50.0), 자동차, 트레일러 및 기타운송장비(53.7)가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ㅇ 조 사 기 간 : 2009. 2.16(월)~2.23(월)
ㅇ 조 사 대 상 : 업종별 매출액순 600대 기업(544개사 응답)
ㅇ 조 사 방 법 : 응답기업 담당자의 자기기술과 조사원의 질의기술 병행

전국경제인연합회 개요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61년 민간경제인들의 자발적인 의지에 의해 설립된 순수 민간종합경제단체로서 법적으로는 사단법인의 지위를 갖고 있다. 회원은 제조업, 무역, 금융, 건설등 전국적인 업종별 단체 67개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대기업 432개사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기에는 외자계기업도 포함되어 있다. 설립목적은 자유시장경제의 창달과 건전한 국민경제의 발전을 위하여 올바른 경제정책을 구현하고 우리경제의 국제화를 촉진하는데 두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fki.or.kr

연락처

전경련 경제본부 경제정책팀 김준호 연구원 02-3771-0455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