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전자공과대학교 졸업식, 총 60명에 학위수여
삼성전자공과대학교는 기업 내에서 운영하는 교육기관으로서는 유일하게 국가인증 정규학사학위를 수여하는 사내대학으로, 고졸학력으로 입사한 임직원이 학사부터 박사학위까지 취득할 수 있는 모든 과정을 갖추고 있다.
사내대학에서 학습하는 기간에도 급여는 계속 지급되며, 교육비용 또한 모두 회사가 부담한다.
이 날 학사과정 졸업생 중에는 우수한 성적으로 총장상을 수상한 김도영氏(반도체공학과, 메모리사업부), 박성일氏(반도체공학과, 메모리사업부)와 대한전자공학회 논문심사에서 우수상을 수상한 최득순氏(반도체공학과, TP센터) 등이 눈길을 끌었으며, 특히, 대학원과정의 김병택氏(공정개발LAB, 메모리사업부)는 졸업성적이 4.5점 만점에 4.5점을 기록해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학부생중 최고령(39살)으로 졸업하는 전동수氏(반도체공학, 메모리사업부)는 "평생 이렇게 재미있는 공부를 해 본 것이 처음이다"며 "스스로 원해 하는 공부이기 때문에 몸은 힘들어도 배움의 즐거움을 깨달을 수 있었다"고 졸업소감을 밝혔다.
최창식 부사장은 격려사를 통해 "삼성전자공과대학교가 반도체와 LCD 산업의 미래를 책임질 현장 경험과 이론에 두루 능한 인재들을 계속해서 배출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하고, "졸업생들은 열정적인 도전으로 새로운 미래와 전통을 창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서정돈 성균관대 총장은 축사에서 "대학과 기업이 공동의 노력으로 인재를 키워내는 삼성전자공과대학교의 역할이 계속 확대되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편, 삼성전자공과대학교를 졸업한 연구원들이 업무에 복귀한 후 탁월한 연구개발성과를 내고 있어, 사내대학을 통한 인재육성의 효과가 본격화되고 있다.
2005년과 2006년에 석사 학위를 취득한 졸업생 이재영氏, 김경호氏는 GDDR5 개발 참여로, 2004년 석사가 된 김상갑氏는 LCD 개발 과제를 통해 삼성그룹의 최고 기술을 평가하는 '자랑스러운 삼성인賞' 기술부문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또한 이 날 박사학위를 수여받은 김찬경氏(메모리사업부 D램설계팀 책임연구원)도 CMOS Temperature sensor 개발 성과를 통해, 삼성그룹 연구원 간 정보 교류의 장인 '삼성학회'에서 동상을 수상하는 등 각종 연구성과심사에서 사내대학 출신들의 활약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삼성전자는 이렇게 각종 연구성과에서 사내대학출신 임직원들이 두각을 나타내는 이유를 첨단산업기술과 학문적 연구활동의 접점에 위치한 최적의 학습환경, 스스로 배움의 필요를 느껴 자원한 구성원들의 순수한 열정 때문이라고 분석한다.
재학생들의 연구결과도 사내외에서 성과를 거두고 있다.
학부 졸업생 32명의 논문중 28편이 국내외 주요학회에 연구논문으로 채택되었으며, 이중 5편은 *SCI급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 SCI급 학술지 : '과학인용색인(Science Citation Index)’이 수준을 인정한 6400여 종의 세계적인 과학·기술 전문지
삼성전자는 향후에도 첨단 반도체·LCD기술을 활용해 최고의 기술인력을 양성해내는 교육사업에 지속적으로 투자할 예정이다.
삼성전자 공과대학교 소개
1989년 사내 기술대학으로 출발한 삼성전자공과대학교는 2001년부터는 성균관대학과 인재육성 산학협동 협약을 맺고 사내대학 전문화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해왔다. 2001년 3월 국내 최초로 교육인적자원부의 정규대학 승인을 받아 "전문학사과정"을 운영하기 시작했고 2005년부터는 "전문학사과정"을 "4년제 학사과정"으로 개편했다.
2002년 이후 현재까지 양성된 인력은 전문학사 130명, 학사 63명, 석사 174명 그리고 박사가 11명으로 총 378명에 이른다.
삼성전자공과대학교의 학사 과정은 ▲반도체 공학 ▲디스플레이 공학의 두 가지 전공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석·박사 과정은 ▲Mixed Signal ▲Process Development ▲System & Software ▲Display 의 총 4개 전공으로 운영된다.
학사 과정 입학생은 수학·영어 시험과 면접을 통해 선발되며 수학, 물리 등 기초 과목에 대한 입학 전 교육을 통해 학사 과정에 대비하게 된다.
삼성전자 개요
삼성전자는 반도체, 통신, 디지털 미디어와 디지털 컨버전스 기술을 보유한 글로벌 리더다. 삼성전자는 디지털 어플라이언스 부문, 디지털 미디어 부문, LCD 부분, 반도체 부문, 통신 네트워크 부문 등 5개 부문으로 이뤄져 있다.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브랜드인 삼성전자는 스마트폰, 디지털 TV, 메모리 반도체, OLED, TFT-LCD 분야에서 세계 선두 주자다.
웹사이트: http://www.samsung.com/sec
연락처
삼성전자 홍보팀 황진오 대리 2255-82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