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 ‘UN도시환경협약 도시 정상회의’ 제안
광주시는 2011년 10월 국제환경도시간의 네트워크 구축과 정보공유, 교류협력을 넓히기 위해 ‘UN도시환경협약 도시 정상회의’를 제안했다고 3일 밝혔다.
‘UN도시환경협약 도시 정상회의’는 영국 런던 등 세계 45개국 107개 도시의 최고 수장인 시장과 환경국장, NGO단체 대표 등이 참가하는 대규모 국제환경회의다.
광주시는 이를 위해 지난 2월초 미국 샌프란시스코 개빈 뉴섬(Gavin Newsom) 시장에게 박광태 광주시장의 서한을 보내 ‘2011광주세계환경엑스포’ 대회기간에 광주에서 회의를 개최할 것을 제안한 결과, 실무진간에는 상당한 의견이 접근된 것으로 파악됐다.
이와 관련해 오는 5월 서울에서 개최되는 C40 제3차 정상회의에 참석하는 샌프란시스코시 환경국장(Jared Blumenfeld)과 구체적인 내용을 협의할 예정이다.
‘UN도시환경협약 도시 정상회의’가 성사될 경우 광주에서는 가장 규모가 큰 국제적인 행사가 될 전망이며, 광주가 세계속에 친환경 중심도시로 도약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UN도시환경협약’은 지난 2005년 6월5일 환경의 날에 미국 샌프란시스코시가 중심이 돼 영국 런던시를 비롯한 러시아 모스크바, 이탈리아 베니스 등 세계 52개 도시 정상들이 모여 ‘생태적으로 지속 가능하고, 경제적으로 역동적이며, 사회적으로는 평등한 미래 도시건설’에 앞장서기 위해 UN 프로그램의 하나로 협약했다.
광주시는 같은해 11월 박광태 광주시장이 미국 샌프란시스코 시청을 직접 방문해 세계 53번째이자, 우리나라에서는 최초로 본 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서의 주요내용으로는 ▲에너지 ▲쓰레기 감량 ▲도시계획 ▲자연경관 ▲교통 ▲환경·보건 ▲물 등 7개 분야로, 분야별로 3개항씩, 총 21개항에 대한 구체적인 이행지표 계획을 수립해 실천할 것을 협약했다.
·에너지 분야: 재생에너지 이용, 에너지 효율성 제고, 온실가스 감축
·쓰레기 감량 분야 : 쓰레기 제로화, 비재생상품 감량, 고형폐기물 감량
·도시계획 분야 : 그린빌딩 정책 채택, 도시계획 원칙 채택, 환경적 직업창출
·도시 자연경관 분야 : 공원면적 확대, 생태서식지 복구, 야생동물 보호법 제정
·교통분야 : 공공 교통시설 확대, 배출가스 규제정책, 승용차 이용 감소정책
·환경·보건분야 : 유독성분 감소, 유기농식품 공급, 대기질 지표 개발
·물 분야 : 물 소비량 감소정책, 도시 식수원 보호, 하·폐수의 재활용
이와같은 실천계획에 대해서는 2012년 6월5일 환경의 날 협약도시들에 대한 이행사항을 평가해 등급을 매기게 되며, 평가등급에 따라 1등급 1성(星)도시에서부터, 2등급은 2성(星) 도시, 3등급은 3성(星) 도시, 4등급은 최고단계인 4성(星) 도시로 명명하게 된다.
광주시는 ‘3성 도시’ 이상을 목표로 2006년초 총사업비 1조6천 6백억원을 투자하는 세부실행계획을 수립해 각종 시책을 발굴 추진하는 한편, 지난 2007년도부터 세계 107개 도시중에서는 맨 처음으로 평가지표를 개발해 매년 추진상황을 평가해 이행사항을 점검하고 있다.
지난해 말 현재 평가결과를 종합해 보면, 각종 제도 마련과 운영에 있어서 자연환경보전기본조례에 의한 생물서식지 조성, 식물원 보호조례 제정, 유연 가솔린 사용매체 등 5개 항목은 이미 90%이상 달성했고, 14개 항목은 정상 추진중이다. 나머지 3개 항목에 대해서는 추진을 독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이와는 별도로 2011광주세계환경엑스포 개최 기간에 UNEP(유엔환경회의) 등 국제회의 기구와 긴밀한 협의 등을 통해 3~5개 국제환경회의도 유치키로 했다.
광주광역시청 개요
광주광역시청은 150만 시민을 위해 봉사하는 기관으로, 2014년 당선된 윤장현 시장이 시정을 이끌어가고 있다. 더불어 사는 광주, 사람중심 생명도시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gwangju.go.kr
연락처
광주광역시청 환경정책과 사무관 정반표 062)613-41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