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값 한주만에 7700억원 증가

서울--(뉴스와이어)--지난 한 주 동안에 서울 지역 아파트의 시가총액이 7,700억원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동산뱅크(www.neonet.co.kr)가 서울 지역 아파트 121만 845가구를 대상으로 시가총액을 조사한 결과, 현재(4월 첫주 기준) 668조 5,275억 7,326만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 마지막주 시가총액은 667조 7,538억 2,226만원으로 한 주 사이에 7,737억 5,100만원이 증가한 것이다.

이는 지난 3월 한 달 동안에 서울 지역 아파트의 시가총액이 7,200억원(2월말 대비 3월말 기준) 증발했지만 한 주 만에 시장 분위기가 반전했음을 알 수 있다.

구별로 살펴보면, 현재 강남구 시가총액은 112조 9,509억 6,758만원으로 전주에 비해 3,232억 7,000만원 증발해 가장 큰 상승폭을 기록했다. 이어 △서초구(2,605억 8,000만원) △양천구(2,332억 6,500만원) △강동구(1,293억 2,750만원) △송파구(589억 6,500만원) △구로구(93억 500만원) △강서구(59억 2,500만원) △은평구(14억 2,000만원)는 시가총액이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마포구(695억 9,500만원) △노원구(532억 6,250만원) △성동구(360억 7,500만원) △성북구(282억 4,000만원) △도봉구(235억 5,250만원) △금천구(124억 4,000만원) 등 순으로 시가총액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뱅크 신경희 리서치센터 팀장은 “강남권은 투기지역 해제 기대감과 개발 재료에 힘입어 재건축 단지 중심으로 호가가 상승하고 있다. 특히, 재건축 단지 중에서도 규제 완화로 직접 수혜 대상인 단지들만 오름세를 보이고 있는데다 일반 아파트는 거래가 여전히 부진한 상태이기 때문에 바닥을 찍었다고 보기에는 무리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다만 저금리 기조가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당분간 선별투자를 하려는 수요자들이 증가해 지역 양극화는 더욱 심화될 것이고, 그 이후 매수세가 뒷받침 되지 않는 이상 하락기조는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서초구 반포동 M공인관계자는 “지난 12월에 입주를 시작한 자이는 이미 마무리가 됐으며, 현재는 7월 입주를 앞두고 있는 래미안에 대한 문의가 많다. 반포주공 등의 재건축 단지는 문의만 있지 거래는 뜸하다. 상가 16개를 줄여야 하는데 합의가 잘 이뤄지지 않아 재건축 사업 계획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72㎡(22평형)의 소형평형을 찾는 수요자들이 늘었다”고 말했다.

마포구 상암동 H공인관계자는 “상암동에 133층 초고층 빌딩이 들어선다는 소식이 전해진 이후 매수 문의는 늘었지만 호가가 오른 가격에 사려는 자는 없다. 이미 투자자들은 1월과 2월에 저가 매물을 사들였고, 실수요자들은 사려고 해도 개인 신용도에 따라 대출이 까다롭기 때문에 자금 부담으로 계약도 못하고 주저 앉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02-2185-7243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