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서 전세 끼고 집마련 힘들다”...부동산뱅크 조사
부동산뱅크(www.neonet.co.kr)에 따르면 서울 구별 3.3㎡당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은 현재(4월 2주 기준) 평균 38.66%로 지난 2001년부터 매년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001년 4월말 60.62%를 기록한 이후 2003년 4월말 54.65%로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이가 계속 벌어져 현재는 40%를 밑도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서울 25개 모든 구에서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50%가 넘는 지역은 단 한 곳도 없었으며,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40% 이상이었던 곳도 급격히 줄어들고 있었다.
2년 전(2007년 4월말)만하더라도 전세가 비율이 50% 넘는 지역이 중랑구(52.61%), 은평구(51.76%), 노원구(50.32%), 서대문구(50.19%) 등 4곳이었느나 지난해에 걸쳐 현재는 단 한 곳도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2008년 4월말) 전세가 비율이 40% 이상인 지역이 16곳이나 됐으나 현재는 10곳으로 크게 감소했다. 중랑구 -4.35%p(47.51→43.16%), 은평구 -3.41%p(49.64→46.23%), 서대문구 -2.58%p(46.83→44.25%), 종로구 -2.42%p(47.04→44.61%), 관악구 -2.29%p(44.54→42.25%), 성북구 -2.02%p(45.20→43.18%), 중구 -1.94%p(44.61→42.67%), 도봉구 -1.78%p(41.48→39.70%), 금천구 -1.64%p(41.54→39.90%), 동작구 -1.46%p(41.39→39.93%), 동대문구 -1.49%p(45.38→43.89%), 강북구 -1.45%p(41.25→39.81%), 구로구 -1.41%p(43.69→42.27%), 성동구 -1.13%p(40.69→39.56%), 노원구 -0.50%p(40.26→39.76%), 마포구 0.24%p(40.52→40.76%) 등이다.
반면, 송파구 3.16%p(27.05→30.20%), 양천구 3.11%p(33.60→36.71%), 강동구 0.96%p(26.90→27.86%), 강남구 0.95%p(25.68→26.63%) 등은 전세가 비율이 지난해 대비 올랐다.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가장 높은 지역은 은평구이며, 가장 낮은 지역은 강남구로 나타났다.
부동산뱅크 신경희 리서치센터 팀장은 “강북권의 경우 매매가격은 제한적인 오름세를 보인 반면 전세가격은 큰 폭 떨어지면서 매매가와 전세가의 괴리가 더 커졌다. 경기 불황 탓에 이사철에도 임차인들은 싼 전세물량을 찾았고, 임차인 수요가 줄어들자 전세가격이 하향 조정되고 있어 전세가 비중이 갈수록 하락할 것으로 보인다. 전세시장이 안정되지 않는다면 매수세가 없는 매매시장은 하락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부동산뱅크 개요
1988년 10월 국내 최초로 부동산 전문 잡지인 <부동산뱅크>를 발간하기 시작하여 현재는 방대한 양의 부동산 관련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고, 이를 통해 방송사, 언론사, 금융기관, 정부기관, 일반 기업체와 공동사업 전개로 부동산 개발, 분양, 컨설팅 등 명실상부한 부동산 유통 및 정보의 메카로 자리잡고 있다. 부동산뱅크가 제공하는 정보는 25년에 걸친 생생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과학적인 분석을 통하여 구축한 부동산 데이터베이스이다. 한차원 높은 인터넷 부동산 서비스를 위해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는 서비스 개발로 부동산 정보와 거래의 믿음직한 파트너로서 우뚝 설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neonet.co.kr
연락처
부동산뱅크 02-2185-7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