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호칼럼-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주인공은 사람
루소는 문명인을 비판하면서 “내적인 것”과 “외적인 것”의 분리를 지적하고, 내적인 것을 문화로 외적인 것을 문명에 연계시키고 있다. 루소에게 있어서 문화는 “영혼의 어떤 능력들의 형성과 그 결과 된 상태들”이라는 인간의 내적인 조건들을 지칭하며, 문명은 “한 사회에 있어서 사람들의 영혼에 있는 어떤 능력 또는 힘이 물질적으로 외재 화 된 것이나 구현된 것”을 의미한다.
문화(文化, culture)는 일반적으로 한 사회의 주요한 행동 양식이나 상징 구조를 말한다. 문화란 말은 가치관, 행동 양식 등의 차이에 따라 다양한 관점을 가진 이론 기반에 따라 다양한 정의가 존재한다. 문화는 하나의 사회적 질서가 반드시 그것을 통해 전달, 재생산, 체험되고 탐구되는 의미화 체계이며, 음악, 미술, 문학, 연극, 영화와 같은 예술 분야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사람들은 상품으로서 대중문화, 유행가와 같은 것들을 소비함으로서 문화를 확인하기도 하며, 사회 전반의 기술, 예술, 관습, 양식 등 보다 광범위한 것들을 가리키는 용어로서 문화를 정의한다. 또한 문화란 사람이 먼저 그 주체를 갖고 있는 가능성을 개발하는 과정이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 얻어낸 객관적 결과물들의 총체적이다.
문화는 자연에서 떨어져 나온 인간에 의해 만들어지며, 인간은 객체의 대상인 문화를 자신의 주체 안으로 받아들임으로써 자신을 한층 더 고양시키게 된다. 이런 과정을 거쳐 문화가 발전한다. 인간이 문화를 받아들이면서 그것을 자신과 일치시킬 때, 즉 주체의 내적 발전과 문화가 결합될 때에만 진정으로 인간은 문화화 될 수 있다.
특히 자신의 내재적 본성을 드러냄으로써 문화화 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초월한 새로운 것을 생성하면서 문화화가 이루어지게 된다. 어떤 문화 현상이나 상품을 통해서 우리는 자의든 타의든 생산자의 의도를 수용하게 되어있다. 일련의 문화커뮤니케이션 과정에 각종의 이데올로기가 접목되어 나온 매체가 바로 매스미디어이고 이 매스미디어를 올바른 시선으로 바라보고 판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인 것이다.
대중문화 긍정론의 대표자인 화이트는 "대중문화에는 좋지 않은 점도 있다는 것을 거부하지 않는다. 그러나 우리가 문명사를 조금 살펴본다면 역사상 대중의 무지에 의한 희생을 수 없이 찾아낼 수 있다. 이는 현대의 대중에게만 있는 일이 아니지 않는가."라고 반문한다.
아울러 대중문화가 전반적으로 사회의 취향수준을 저하시키고, 그렇기 때문에 하나의 우리가 사는 세상을 아름답게 그리고 가치 있게 문명으로서의 그 질을 훼손시킨다. 문화적 자본의 차이가 취향의 차이를 낳게 되고, 그것은 결국 사회적 구별 짓기를 초래한다. 오늘날 사회변동의 가장 도드라진 추세는 세계화다.
한편 우리에게는 그것의 문화 메커니즘과 실체에 대한 다소 편벽된 이해 이외에는 별다른 대안적 관점이 없다. 새로운 실천을 통해 새로운 장을 펼치고자 하는 것이다. 문화는 제작자의 전문성과 창조성이 제품의 질과 가격을 결정하는 창조문화산업으로 중간재의 투입에 비하여 창출되는 부가가치가 매우 높은 산업이다. 포플러 컬처(popular culture)는 다수의 사람들이 보편적으로 향유하는 문화를 의미하는 것으로 다소 긍정적이고 가치중립적인 표현이다. 바로 문화 커뮤니케이션의 주인공은 사람이다.
글/李昌虎박사, 대한민국 신지식인, 이창호스피치리더십연구소 대표, 스피치컨설팅지도사 제1호, 한국의 명장 20人 선정, 근간 <협상의 포인트를 잡아라.> 외 14권.
이창호스피치 개요
이창호스피치는 2002년 10월1일 설립되어 창조시대, 스피치(소통)콘텐츠 전 분야를 아우르는 민간자격인 ‘스피치 지도사’를 최초로 개발하였다. 특히 대한명인(연설학)으로서 역사와 정통성을 자랑하며 스피치(소통)교육 이순신리더십교육 안중근평화리더십 이창호칼럼 강연 세미나 방송 경영컨설팅 위탁교육훈련 및 라이프코칭 등 스피치(소통)운동을 통해 창의적인 소통강국을 진행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peechkorea.org
연락처
이창호스피치리더십 홍보팀 이강문 1544-9156 010-4439-0091 이메일 보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