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금융그룹, 보수적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1분기 적자

서울--(뉴스와이어)--하나금융그룹(사장:김종열)은1분기 보수적 대손충당금 적립 및 일회성 손실 발생 등에 따라 3,250억의 당기 순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하나금융그룹의 이같은 실적은 환율 변동성에 따라 태산LCD 관련한 추가 대손충당금을 1,936억원이나 대폭 적립하고 2차 구조조정 대상업체 전체에 대해 모두 고정이하의 보수적 건전성분류를 하는 등 위험에 대비한 엄격한 기준을 반영한데 따른 것이다. 또 은행의 명예퇴직에 따른 명퇴금 689억, 메릴린치 &BOA 합병 처분손 705억 등 1분기에만 국한된 일회성 요인에 기인한다.

하나금융그룹은 하지만 2분기 이후 은행권 최고의 자본건전성 (3월말 하나은행BIS비율 13.81%)을 바탕으로 우량 대출자산 증대 및 조달구조 개선을 통해 그룹 이자이익을 늘리고, 건설·해운 등 경기 민감 업종에 대한 경쟁사 대비 최저 익스포져에 따른 철저한 리스크관리로 턴어라운드에 대한 자신감을 갖고 있다.

하나금융그룹은 이와 함께 향후 환율 안정화에 따른 은행 파생상품 리스크 감소 및 태산LCD관련 기존 충당금 환입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2분기부터는 상당폭의 흑자 결산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하나금융그룹은 24일 이사회를 개최해 그룹의 신성장 동력 발굴을 위해 신용카드사업 분사를 결정하고 그룹의 비은행 부문 경쟁력 및 카드업의 전문성을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금융과 통신의 컨버전스를 주도하기 위한 조인트벤처 설립과 함께 지주회사 체제의 장점을 적극 활용해 신용카드 부문이 향후 그룹의 핵심적인 수익모델 역할을 맡도록 할 계획이다.

먼저 그룹의 순이자 및 수수료 이익을 살펴보면 1분기 자산증가 정체 등으로 4분기 대비19.2% 감소한 6,923억을 기록하였다. 이같은 감소는 최근 CD금리 급락 등 은행권 전체의 NIM하락 요인에 기인한 것이며, 수수료 이익 경우는 4분기 대비 3%p만 감소할 정도로 견조하게 유지되고 있다.

하나은행의 자산건전성은 연체율이 지난해말 대비 0.51%p 증가해 1.37%로 나타났다. 이는 경쟁사 대비 대출자산 매각 및 상각 규모가 극히 적었고 1분기 은행 자산증가 정체에 따른 것으로 은행권 평균 연체율 증가 추세와 비슷한 수준이며 3월 하순을 정점으로 연체율 추이는 점차 하향 안정화 되고 있다.

한편 주요 계열사인 하나은행은 1분기 3,045억의 당기 순손실을 기록했으며 하나대투증권은 시장 성장율을 상회하는 수익증권 판매실적 호조에 힘입어 542억의 순이익을 시현했다.

하나은행 개요
KEB하나은행은 1971년 6월 한국투자금융으로 설립된 이후 최초의 민간금융기관에서 국내 3대 은행으로 발전하였다. KEB하나은행은 폭넓은 기반의 고객에게 장기적 관점에서의 만족을 제공하고, 지속적인 소통과 일관된 경영활동으로 견고한 신뢰관계를 만들어 갈 것이다.

웹사이트: http://www.hanabank.com

연락처

하나금융지주 홍보팀 이정대 과장 2002-2723, 2002-18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