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마철, 어른 대표질환 접촉성 피부염, 완선 등 주의
장마철의 평균 습도는 80~90%로 사람이 가장 쾌적하게 여기는 습도인 30~40%보다 약 2배에 달하는 수치에 해당한다. 장마철은 산성비와 고온 다습한 환경 때문에 각종 세균에 의한 피부 트러블이 가장 빈번해지는 시기다. 특히 세균으로 인한 질환들은 가정 내에서도 흔하게 발생되고, 전염성인 경우도 많아 더욱 주의가 요구된다.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은 “장마철은 고온 다습하기 때문에 박테리아 및 곰팡이 균이 기승을 부리며 각종 피부 트러블을 일으키는 시기”라며, “곰팡이성 질환은 사소하게 여겨 방치했다가 어느 순간 온 몸으로 퍼지므로 철저한 위생 관리가 우선이며, 질환이 발생 시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어른 대표질환 접촉성 피부염, 완선 등 주의
수해 등으로 인해 빗물에 피부가 장시간 노출됐을 때 가장 유의해야 할 피부질환이 바로 ‘접촉성 피부염’. 빗물에 녹아있는 세균이나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항원에 직접 닿아 피부염이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이 질환은 피부가 따갑고 가려우며 반점이 생기고 부풀어 오른다. 상처 부위에 닿으면 염증을 발생시키는 상처 감염증세도 일으킨다.
특정 물질에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인 경우, ‘알레르기성 접촉성피부염’이 재발하는 시기 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 목걸이나 시계의 줄이 닿는 부위, 벨트와 버클이 닿는 배꼽 부위가 가렵고 심하면 진물까지 난다. 이런 증상은 금속알레르기 성분이 땀이나 습기에 녹아 나와 피부에서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킨 탓이다. 따라서 이러한 접촉성피부염을 예방하려면 피부를 건조하게 유지시켜 주고, 원인 물질이 피부에 닿지 않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이다.
이 맘 때 남성에게 주로 생기는 ‘완선’이란 질환도 있다. 주로 넙적 다리나 엉덩이, 가랑이 사이에 발생되는 피부 곰팡이증으로써 2차 감염을 일으키기도 한다. 사타구니의 높은 온도와 눅눅한 습기로 인해 곰팡이가 서식하기에 좋아지고, 여기에 몸에 꼭 끼는 내의를 입어 피부에 계속적인 자극을 주게 되어 생기는 질환이다. 기온과 습도가 높은 여름에 잘 생기고 심하며, 붉은 반점이 사타구니와 항문 주변에 생겨 번져 나가며 매우 가렵다.
남성들에게 많이 생기는 이유는 음낭이 항상 축축하고 습하기 때문이다. 오래 앉아 있는 남학생이나 직장 남성에게 더 흔하며, 비만할 경우 더욱 잘 발생된다. 요즘은 몸에 꼭 끼는 바지나 팬티스타킹, 코르셋을 입는 여성들에게도 나타나고 있다. 통풍이 잘 안되어 곰팡이를 잘 자라게 하기 때문이다.
완선은 초기에 항진균제가 포함된 연고를 바르거나 먹는 약으로 치료해야 한다. 적절한 약을 사용하여 증상이 호전됐다 하더라도 관리를 소홀히 하면 쉽게 재발한다. 때문에 한 달 이상 충분한 시간을 갖고 항진균제 연고를 꾸준히 발라야 한다. 또 대부분 발 무좀과 동시에 발생하기 때문에 같이 치료해야 재발을 막는다. 완선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환부를 청결하게 유지해야 한다. 또 가능하면 건조한 상태를 유지해야 하므로 통풍이 잘되는 속옷을 입도록 한다. 씻고 난 후에는 피부에 물기를 꼼꼼히 닦아주는 것이 중요하다.
어린이 대표질환 농가진, 땀띠 등 주의
세균 중에서도 황색포도구균에 의한 감염으로 인한‘농가진’은 장마철 어린이에게 발생할 수 있는 대표적 질환이다. 특히 아토피 피부염이 있을 때 잘 생기고, 코를 심하게 풀어 헐어 있거나 벌레에 물려 상처가 난 자리 등에 쉽게 발생한다. 이 질환에 걸리면 피부 여기저기에 붉은 반점이 나타나며 일정 시간이 지나면 물집이 생긴다. 물집 속에는 노란 고름이 잡히며 부스럼도 생긴다. 처음 물집이 잡혔을 때 긁지 못하게 해야 전염을 막을 수 있고, 의사 처방에 따라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한다. 이를 예방하려면 평소 손을 잘 씻기고 생활환경을 청결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땀띠’도 어린이들에게 주로 생긴다. 땀띠는 땀구멍이 막혀 땀이 제대로 배출되지 못하면서 생기는 염증인데, 습한 장마철에는 더욱 증상이 심해진다. 이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피부를 건조하게 해줘야 한다. 따뜻한 물에 자극이 적은 비누를 사용하여 10분 전후의 목욕을 시킨 뒤에는 물기를 깨끗이 제거하고 살이 겹치는 부분에 파우더를 발라주면 예방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땀띠가 생겼다면 오히려 땀구멍을 더 막아버려서 상황을 악화시키는 주범이 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특히 잠을 잘 때 땀을 많이 흘리는 부위인 목 뒤나 머리, 등에 생기기 쉬워 베개에 수건을 깔아두고 축축해지기 이전에 자주 갈아주는 게 좋다.
장마철 위생 관리법
1. 한 번씩 낮은 온도로 난방기를 틀어 집안의 습기를 제거하고, 장롱과 신발장에는 제습제를 넣어 옷과 신발에 습기가 베는 것을 막아주도록 한다.
2. 물기가 많고 햇볕이 잘 들지 않는 욕실과 주방, 싱크대 등은 소독이 되는 소다나 왁스를 물에 풀어 수시로 청소한다.
3. 눅눅한 침구와 방석, 쿠션 등은 잠시라도 해가 나는 날엔 4~5시간 정도 말려준다.
4. 공기 정화 기능이 있는 관엽 식물이 실내 습도를 높이는 작용도 하므로 장마가 지날 때까지 베란다로 내놓는다.
5. 속옷과 겉옷은 땀 흡수와 통풍이 잘 되는 옷으로 입고, 손은 자주 씻고 샤워는 매일 하도록 한다.
[도움말: 초이스피부과 최광호 원장]
초이스피부과 개요
초이스피부과(www.skinchois.co.kr)는 1989년 하계점을 시작으로 신사, 평촌 3개 병원 및 에스테틱, 모발 이식 센터를 보유한 종합 피부과 클리닉이다. 1990년부터 레이저 치료를 도입, 40여 종류의 첨단 레이저를 보유하고 있는 초이스 피부과는 백반증, 안면홍조, 주름 및 노화교정 등 레이저 시술 분야의 전문화된 인프라와 오랜 노하우를 통해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위한 명의로서의 역사를 이어가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kinchois.net
연락처
초이스피부과 기획실
오진영
02-3445-34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