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색’ 스토리, ‘자연, 문화 그리고 서울색’ 발간

서울--(뉴스와이어)--지난 2007년 9월부터 2008년 6월까지 약 9개월에 걸쳐 서울의 인문, 인공, 자연환경을 분석하고 추출하여 정립된 서울색에 관한 내용과 그 배경 스토리가 책으로 엮어졌다.

‘자연, 문화 그리고 서울색’이라는 제목으로 발간된 이 책에서는 서울색 정립 및 체계화의 결과, 그리고 서울색의 추출 및 연구 과정 등을 소개함으로써 서울색의 이해도를 높이고 있으며, 서울색 정립 이후 적용된 각종 사례들을 수록하여 디자인서울의 변화상을 함께 보여주고 있다.

구성 및 내용

이 책은 세계적인 색채디자이너 필립 랑클로의 ‘환경, 건축 그리고 색’의 별책으로 발간되었으며, <세계의 색: 색채 지리학 Couleurs du Monde: Geographie de la Couleur>을 번역한 ‘환경, 건축 그리고 색’은 세계 각지의 주거 색채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랑클로 부부는 수십 년에 걸친 여행과 현장 분석, 체계적인 조사를 통해 다양한 주거지의 색채범위를 살펴봄으로써, 지형, 기후, 빛, 사회문화적 관습, 지역 전통, 건축 기술과 같은 여러 요소들이 각 나라와 각 지방의 풍경마다 서로 다른 건축적 개성과 특징적인 색채를 부여한다는 ‘색채 지리학’의 개념을 발전시켰다.

서울색 또한 서울의 자연, 인문, 건축, 전통 등의 요소들에서 추출한 것으로 랑클로의 ‘색채 지리학’ 개념을 같이 하고 있다.

“나의 책은 세계 11곳의 전통적인 주거 지역에 대한 ‘색채 지리학’을 다루고 있다. 프랑스에 이어 한국에서 이렇게 번역되어 나오기까지 나름의 긴 역사가 있었다...... 그리고 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게 된 한국의 상황에서 서울시 역시 우리 못지않게 색채 변화의 의지를 갖고 있었음을 ‘서울색’이 발표되고 나서야 알게 되었다. 한국에서 진행된 우리의 프로젝트와 거의 동시에 ‘서울색’이 개발되었고, 또 이렇게 이 책에 소개되니, 한국의 색채와 나의 인연이 얼마나 깊은지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다.”

-2009.5 파리에서 장 필립 랑클로 (한국어판 서문 중 발췌)

책의 규모는 A4변형판 16쪽으로 서울색을 추출하기 위한 조사 및 분석과정을 알기쉽게 표로 정리하였으며, 서울현상색250, 서울지역색50, 서울상징색, 서울기조색 그리고 서울색 적용 사례를 사진과 함께 수록하여 독자의 이해도를 높일 수 있도록 편집하였다.

서울색이란? 에서는 서울을 대상으로 대표성을 가지고 있는 색을 추출하기 위하여 대표항목을 선정하는 과정과 색을 측색하는 방법 등 연구의 흐름을 서술하였다.

서울색 추출을 위한 분석에서는 서울의 자연환경, 인공환경, 인문환경 을 분석하고 색채팔레트를 추출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며 주요 이미지를 통해 서울지역색50을 볼 수 있도록 사진을 함께 수록하였다.

서울대표색10은 각 색상의 추출배경에 따른 색 이름의 소개와 선정 방법에 대해 설명하고 있으며, 서울상징색과 서울기조색의 의미를 역사, 문화적 관점에서 서술하였다.

서울색 활용사례를 통해서는 서울색을 적용하여 새롭게 변모하고 있는 도심의 가로판매대, 사설안내사인, 환경미화원 근무복, 해치택시, 서울정보문양디자인 맵 등을 사진과 함께 수록하였고 서울색 활용을 위한 도구인 서울색표집을 소개하고 있다.

발간 의미

이 책은 그동안 추진해 온 서울색 정립의 의미와 과정을 소개, 시민들과 관련 전문가, 학생들이 서울의 색을 쉽게 접할 수 있도록 요약 정리한 것이다.

서울색은 우리나라 도시디자인 분야에서 최초로 정리되고 구조화된 색채 사례이며, 색채전문분야에 서울색의 연구 과정을 소개함으로써 서울색 정립을 공표하고 합리성을 인정받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구입

필립 랑클로의 ‘환경, 건축 그리고 색’ 과 별책인 ‘자연, 문화 그리고 서울색’은 시중 서점에서 구매할 수 있으며 관련자료는 출판사 미진사홈페이지에서 (http://blog.dreamwiz.com/mijinsa/) 확인할 수 있다. 정가는 2만8천원.

서울특별시청 개요
한반도의 중심인 서울은 600년 간 대한민국의 수도 역할을 해오고 있다. 그리고 현재 서울은 동북아시아의 허브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시민들을 공공서비스 리디자인에 참여시킴으로써 서울을 사회적경제의 도시, 혁신이 주도하는 공유 도시로 변화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seoul.go.kr

연락처

서울특별시청 디자인서울총괄본부
공공디자인담당관 김성보
02-6361-3441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