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종매체간 광고영업 허용, 지상파 독과점 심화

서울--(뉴스와이어)--이종매체간 방송광고 영업을 허용했을 때 지상파방송사들과 계열 전문편성채널(이하 PP)들은 연간 2천억원~3천억원 가량의 수혜를 입는 반면, 기타 PP들은 1천억원~2천억원 정도의 매출 감소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회장 길종섭)는 7일 방송광고판매제도 개편으로 지상파방송과 계열 PP간 광고영업이 동시에 이뤄진다면 2008년도 광고매출액 대비 2010년에는 9.9%에서 최대 15%까지 확대될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한정된 방송광고시장을 두고 제로섬 게임을 하고 있는 비지상파 계열 PP사업자들은 동기 -4.5%에서 최대 -7.5%까지 광고매출 감소를 겪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 방송광고는 지상파방송의 경우 한국방송광고공사(KOBACO)가 판매를 대행하고 있으며, PP 등 기타사업자들은 자체영업을 하고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방송광고제도 개편을 통해 민영미디어렙이 허용된다면 지상파방송사들은 케이블·위성 등 유료방송시장에 진출해 있는 계열 PP사들과 광고를 연계판매 하는 등 지상파콘텐츠로의 방송광고 쏠림 현상을 극대화 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럴 경우 2008년도 방송광고시장 79% 점유를 기록한 지상파방송진영이 2년 만에 84%~86%로 점유율을 5%~7%까지 성장할 것으로 보여, 상대적으로 규모가 작은 PP들은 더 큰 위기를 맞게 될 것으로 내다봤다.

협회는 “PP들은 여전히 시청률에 비해 저평가된 광고비와 디지털 전환에 따른 투자, 한·미FTA 방송개방에 따른 총체적 피해 예상 등의 원인으로 자구노력에도 한계를 맞고 있는데 지상파방송사만을 위해 방송광고판매제도를 개편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라며 매체 간 균형 있는 정책을 수립해 줄 것을 주문했다.

이와 관련 지난해 헌법재판소는 특정회사의 지상파방송 광고판매대행 독점에 대해 ‘헌법 불합치 판결(2008. 11. 27)’을 내린 바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민영 미디어렙 허용에 대해 검토를 하고 있으며 케이블TV업계는 헌법재판소 판결 취지와는 상관없는 이종매체간 방송광고 영업 허용은 불가하다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웹사이트: http://www.kcta.or.kr

연락처

한국케이블TV방송협회 정책협력실 홍보팀
김용배 과장
02)398-5312
이메일 보내기

국내 최대 배포망으로 보도자료를 배포하세요